
우리 국민 중 10명 중 7명은 최근 이동통신사가 내놓은 데이터중심 요금제에 대해 불만족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연대는 21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데이터중심 요금제에 대한 개선 필요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8.9%는 ‘개선 및 추가 인하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현재 데이터중심 요금제면 충분하다'는 응답은 2.7%에 불과했다.
‘향후 추이를 보고 개선을 추진해도 된다’고 답한 사람은 18.1%로 전해졌다.
또한 통신사가 데이터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며 요금인하 효과가 크다고 광고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77.2%는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하 효과가 있지만 미미하다’는 응답이 31.6%로 가장 높았으며, ‘이전과 비교해 인하 효과가 없다’는 답이 22.9%였다. ‘데이터를 많이 쓰는 추세라 오히려 요금이 인상될 우려가 있다’고 답한 사람도 22.7%정도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통신비 인하 효과가 상당할 것이다’고 답한 비율은 고작 10.5%에 그쳤다.
때문에 데이터중심 요금제 변경 의향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자의 51.5%는 ‘시장 상황을 지켜본 후 차분히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이미 변경했거나 곧 변경 예정’이라고 답한 이는 18.9%였으며 ‘변경생각이 없다’고 답한 사람은 18.8%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17일 참여연대가 우리리서치에 의뢰해 자동응답전화(ARS) 방식의 유무선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을 통해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참여연대는 정부와 통신사를 향해 통신요금 인가제 폐지 반대, 기본요금제 폐지, 단말기가격 거품 제거, 데이터 제공량 확대 등을 요구하며 지난 7월부터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와 SKT빌딩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