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원이 해외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해 타깃으로 삼았던 것은 ‘중국 내 한국인’이었다는 진술이 나왔다.
22일 한겨레에 따르면, 국정원을 대신해 이탈리아 보안업체인 ‘해킹팀’으로부터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한 ‘나나테크’ 측은 “그분들(국정원)의 관심 대상은 오직 휴대폰”이라며 “(해킹의) 주 타깃이 중국에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나나테크 허손구 대표는 전날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히며 ‘중국에 있는 누구를 가리킨 것이냐’는 질문에 “(지난 18일 숨진 국정원 직원 임 모씨가) 중국에 있는 내국인이라고 표현했다”고 답했다.
해킹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했을 때도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그 부분은 진행한 사람만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이병호 국정원장은 지난 14일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감청 프로그램을 활용한 적도, 활용할 이유도 없다”는 입장을 밝혔던 바 있다. 하지만, 나나테크 대표 진술과는 정면으로 배치돼 사실관계 규명 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이 원장은 “해당 프로그램은 해외에서 대북 첩보 수집 활동에만 활용했을 뿐 국내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며 “과거와 같은 (불법사찰) 활동이 있었다면 어떤 처벌도 받겠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히기까지 했었다.
이에 대해 한겨레는 “실제로 국정원이 내국인을 상대로 해킹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며 “‘국정원 유도 요청→이용자 스마트폰 감염→해킹팀 해킹’ 순으로 해킹이 이뤄졌을 수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에스케이텔레콤 이용자가 중국 체류 중에 해킹을 당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여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한 변호사는 “관할권이 미치지 않는 외국 땅에서 국정원이 수사권을 발동했더라도 문제고, 내국인을 상대로 해킹 또는 불법 감청을 했어도 문제”라며 “여러 정황상 검찰 수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