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은 23일 전날 밤 열린 고위 당정청 회의에 대해 “대통령 하명사항만 올라온 청청청 회동”이라고 폄하했다.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청청청 회동에서는 대통령의 하명사항만 올라온다. 청와대와, 청와대 출장소, 새누리당 분점이 모인 청청청 회동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불통’을 보여주는 자리였다”며 “소통은 일방적 하명이 아니라 민주적인 의사소통, 견제와 균형이 작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회동에서 ‘일심동체’, ‘운명공동체’ 등 낯간지러운 말들이 넘쳐났다”며 “자신들이 대통령 이전에 국민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자각하고 있는 사람이 한 명도 보이지 않아 슬펐다”고 개탄했다.
최재천 정책위의장은 정부의 노동개혁안 관련해 “박근혜 정부는 지금 쉬운 해고, 낮은 임금을 골자로 하는 노동 개혁을 하반기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노인 빈곤율 세계 최고에 따른 필연적 대책인 ‘정년 60세 정책’이 마치 청년 일자리 문제의 주범인 것처럼 호도 한다”며 “무엇을 위한 노동 개혁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경제정책 실패, 일자리 정책 실패, 청년고용 정책의 실패를 노동개혁이라는 이름으로 호도하고 있다”며 “개혁 대상은 개혁에 앞서 이 행정부의 경제 정책, 일자리 정책, 무분별한 우리의 노동시장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주 환경노동위원장도 이 자리에 참석해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이 밀어 붙이는 노동개혁은 임금삭감과 비정규직 확대에 불과하다”며 “새누리당과 정부가 말하는 노동개혁은 가짜라는 이야기다. 대기업-하청업체 사이의 공정한 거래를 확립하는 것이 개혁”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같은 날 오전 김정현 수석부대변인 명의의 논평에서 전날 당정청 회의에 대해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광복절 사면과 국정원 해킹 사건은 쏙 빠지고 추경안의 정부안 처리 목소리만 들리니 청와대의, 청와대를 위한, 청와대에 의한 청청청회”란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