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민 “국정원 자살 직원, 기밀 삭제권한 없어”
신경민 “국정원 자살 직원, 기밀 삭제권한 없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정원, 자료 삭제 시점‧출처 분명히 해야”
▲ 새정치민주연합 신경민 의원은 23일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자살한 국가정보원 임모 과장은 4급 이하 직원으로, 자료삭제 권한이 없다고 말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신경민 의원은 23일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자살한 국가정보원 임모 과장은 4급 이하 직원으로, 자료삭제 권한이 없다”며 국정원의 조직적 은폐 가능성을 제기했다.

신경민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국정원이 현장조사를 수용한 14일 정보위 후, 그리고 임 과장이 숨지기 전날 17일까지 4일 동안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중요해졌다. 삭제 시점이 14일 정보위 이전인지, 이후인지 중요하다는 뜻”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신 의원은 “17일 국회 정보위 이전에 자료가 삭제됐다면 권한이 없는 직원이 어떻게 삭제했는지 의문”이라며 “윗선의 지시와 공모가 있었을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그는 “만약 정보위 이후에 자료를 삭제했다면 집단적·조직적 광범위한 삭제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심대한 의미”라며 “전출한 임 과장이 여기에 동원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그는 “지난 일요일, 여당 간사가 (임 과장이) ‘감찰을 받았다’고 하더니, 월요일엔 ‘전화로 확인한 정도’라고 말이 바뀌었다”며 “여당 간사는 국정원 대변인을 자임한 만큼 국정원이 감찰을 놓고 허둥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꼬집었다.

신 의원은 삭제된 데이터가 임 과장의 개인 PC 자료인지, 국정원 메인 PC의 것인지, 해킹 프로그램의 해외 데이터 서버 내 자료인지를 국정원이 분명히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한국 등 21개국이 이탈리아 ‘해킹팀’과 거래했다고 폭로한 캐나다 ‘시티즌 랩’이 작년 2월 만든 보고서를 근거로 “국정원 해킹 데이터는 미국 시카고에 위치한 두 회사의 서버를 활용했다”며 “감청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의도적으로 미국 서버를 이용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신 의원은 “미국 정부 동의가 없었다면 우리 정부가 미국 주권과 내정불간섭에 대한 국제법 원칙도 어긴 것”이라며 “이건 우리나라 감청 데이터가 미국 정부와 사기업에 공개되었단 뜻으로 우리 기밀을 함부로 다루고 있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