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표가 동양시멘트를 인수해 ‘시멘트부터 레미콘까지’ 수직계열화를 이뤘다.
서울중앙지법 파산6부는 주식회사 동양이 보유하고 있는 동양시멘트 주식 55%의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삼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23일 전했다.
삼표는 22일 주당 1만4000원을 인수가격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다른 인수 후보들이 제시한 가격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삼표는 동양시멘트 인수를 발판으로 원자재부터 레미콘 완제품까지 생산하는 수직계열화를 달성할 수 있게 됐다. 삼표는 레미콘과 골재, 드라이몰탈을 생산하는 ㈜삼표산업, 슬래그와 플라이애쉬 등을 만드는 ㈜삼표기초소재, 콘크리트를 만드는 삼표피앤씨㈜와 건설기초소재인 골재를 만드는 ㈜엔알씨, ㈜신대원 등을 소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삼표의 성장에 따라 레미콘 업계 순위의 지각변동을 예상했다. 레미콘 출하량 445만톤의 업계 2위인 삼표가 1위 유진기업(565만톤)을 바짝 뒤쫓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시멘트와 레미콘 중 어떤 것에 초점을 맞춰 수직계열화를 할 것인지, ‘삼표의 전략’에 따라 업계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시멘트 사업을 우위에 둘 경우 레미콘 사업의 수익성을 줄겠지만 시멘트 납품가 인상 등으로 수익성 극대화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업계로서도 과점업체인 쌍용양회를 견제할 수 있는 대형 업체의 등장을 반기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삼표가 레미콘 사업을 우위에 둘 경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