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첫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은 지 69일 만인 28일, 사태 종식을 선언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메르스 대응 범정부 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엄격한 국제기준에 따른 종식선언을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집중관리 병원 15개 모두 관리 해제됐다”며 “23일간 새 환자가 전혀 없었고, 어제로 격리자가 모두 해제되는 등 여러 상황을 종합해볼 때 국민께서 이제는 안심해도 좋다는 것이 의료계와 정부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황 총리는 그러면서 “국민 여러분께서는 메르스로 인한 불안감을 모두 떨쳐버리고 경제생활, 문화와 여가 활동, 학교 등 모든 일상생활을 정상화해주시기 바란다”며 “그렇게 하셔도 되겠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덧붙여 메르스 사태에 따른 국민 사과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황 총리는 “이번 일로 인해 국민 여러분께 많은 불편과 불안을 끼쳐 드린데 대해 총리로서 다시 한 번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이어, 관계 장관들에게 “메르스로 인해 침체된 우리 사회-경제 전반의 분위기가 되살아나는 것이 시급하므로 추경예산 신속 집행, 피해 지원, 내수활성화 등 부처별 후속조치를 만전에 기해달라”며 “특히 큰 타격을 입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의 정상 회복을 위해서도 관계부처가 협업해 다각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황 총리는 아울러, “이번 사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신종감염병 방역체계를 확실히 개선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이번 기회에 감염병 유입 차단, 현장 대응시스템 강화, 음압병실 등 시설 보강, 전문가 양성, 병원문화 개선 등 완성도 높은 대책을 마련해 속도감 있게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메르스 초기에 확실히 대응하지 못한 점 등 대처과정의 문제점과 원인도 철저히 밝혀 그에 따른 조치도 뒤따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