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새정치민주연합 정보위 간사인 신경민 의원은 “어제 정보위원회는 종교집회의 합창을 연상시킨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회의 중 신경민 의원은 “국정원의 합창 내용은 이렇다. ‘믿어 달라, 사찰은 없었다, 국정원이 우스워질까봐 자료 못 내놓겠다, 해킹 프로그램 운용책임은 죽은 임 과장이 지고 있다’ 그러니까 삭제는 직원 누구나 할 수 있단 것이고 죽으면 모든 책임을 뒤집어쓴다는 얘기”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신 의원은 “여당은 이에 대해 말로는 진실규명을 향한 발걸음을 얘기하면서도, ‘모두 믿읍시다’, ‘모두 믿어봅시다’라는 백코러스로 받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여러 번 저를 포함해서 모든 사람들이 수사배당은 수사를 좌우하는 법이기에 공안부에 배당해선 안 된다고 얘기했지만 검찰은 듣지 않았다”며 “검찰은 음악회의 마무리 순서로 등판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신 의원은 국정원 직원 자살 관련해서도 “임 과장의 자살현장이 오염되지 않았느냐”며 “국정원 직원이 현장에 갔고, 고인 부인의 통화내용이 왔다갔다 한다. 왜 7월초에 마티즈를 구입했는지에 대해서도 뚜렷한 설명을 듣지 못하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또한 국정원 직원들의 성명 발표에 대해 “세계사에 유례없는 정보부 직원의 최초 성명”이라며 “원장은 이 성명에 본인 책임이 없고 누가 작성했는지 밝히기를 거부했다. 이것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어제 상임위에서 나왔던 기술 간담회는 현장조사나 현장검증이 아니다”라며 “로그파일 등 자료 확보에 어제 정보위는 무력하단 것이 입증된 만큼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이날 같은 자리에서 “우리 당이 세차례에 걸쳐 34건의 자료제출을 요구했으나 국정원은 거부하고 있다”며 “국정원이 해킹사찰 의혹을 셀프검증하고, 여당과 국정원이 함께 면죄부까지 셀프 발급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정원이 더 이상 객관적 자료를 거부하는 건 국회를 능멸하는 것이고 검찰이 이 수사를 공안부에 배당했다는 것도 진실을 묻어버리려는 것 아닌가”라며 “이 사건은 정권 끝나도 대통령 발목잡을 게 분명하다. 과거에도 국정원 도감청 의혹은 결국 사실로 드러났단 걸 명심해야 할 것”이라 경고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