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정부 메르스 종식 선언 온도차
與野, 정부 메르스 종식 선언 온도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 “경제 활성화 계기” - 野 “대통령 사과 촉구”
▲ 여야는 정부의 메르스 종식 선언과 관련해 서로 다른 입장을 내놨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여야는 정부의 메르스 종식 선언과 관련해 서로 다른 입장을 내놨다.

새누리당 문정림 원내대변인은 28일 정부의 메르스 종식 선언과 관련해 “국민의 일상생활 복귀, 경제생활, 문화 및 여가활동의 활성화, 그리고 외국인의 국내 방문과 관광 및 교류 활성화에 새로운 계기가 되리라 생각된다”고 밝혔다.

문정림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현안 브리핑에서 “사실상 메르스 종식선언은 집중관리 병원 해제, 23일간 새 확진환자 발생이 없었던 점, 격리자 전체의 해제 등의 상황이 고려된 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원내대변인은 “국회 특위는 보고서를 통해 메르스 사태의 원인분석과 국가 감염병 관리 대책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을 했다”며 “메르스특위가 열리는 동안 병행해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를 통해 심의가 이루어진 법안과 추경예산안에 담긴 예산투입 등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국가감염병 관련 병원 설치’ 및 ‘피해 국민 및 피해의료기관 지원 등’의 근거 조항은 아직 통과되지 못한 점, 그리고 관련법으로서 의료법, 검역법도 심의‧의결이 남아 있는 점 등은 국회가 할 일”이라며 “새누리당은 여야‧정부와 협의해 향후 국가감염병 관리 대책과 관련법 정비, 예산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같은 날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김성수 대변인의 오전 브리핑에서 “메르스 사태 후 공식적 사과표명도 하지 않은 박근혜 대통령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정부가 첫 확진자 발생 69일 만에 사실상 메르스 사태 ‘종식’을 선언했다.
23일째 추가로 신규환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고, 11일째 사망자도 없다고 하니 다행스러운 일이나 정부의 대국민 메시지가 메르스 종식 선언의 전부가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주무장관으로서 메르스 초기 대응 실패로 인해 온 국민을 공포에 몰아넣은 책임을 분명하게 져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정부가 말뿐인 ‘종식’ 선언과 안일한 사후 대응에 그친다면 ‘제2, 제3의 메르스 사태’는 또 다시 되풀이될 것”이라며 “정부와 보건당국은 메르스 사태가 완전히 종식되고, 전 국민이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때까지 관심을 놓지 않고 지속적인 관리에 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김 대변인은 “메르스 종식 선언이 있기까지 사투를 벌인 의료진들에 대한 헌신도 잊어서는 안 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