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 사고’와 관련해 지난 11일 출범한 한‧미 합동실무단은 29일 첫 전체회의를 열어 내달 6일 직접 오산기지를 현장조사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국방부 청사 내 화상회의실에서 열린 탄저균 배달사고 진상 조사를 위한 합동실무단 전체회의는 한국 측 합동실무단장인 장경수 국방부 정책기획관(육군 소장)과 미국 측 단장인 주한미군사 로버트 헤드룬드 기획참모부장(해병소장) 주관으로 진행됐다.
한‧미합동실무단은 이날 회의에서 내달 6일 주한미군 오산기지에 있는 생물검사실을 방문해 탄저균 샘플 반입 과정과 반입 이후 조치 및 폐기 절차 등 사고 전반의 과정을 직접 확인하고 평가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합동실무단은 현장 기술평가팀과 생물방어협력절차팀으로 운영되는데 현장조사는 현장 기술평가팀 위주로 이뤄질 예정이다. 또 당시 탄저균 샘플을 취급했던 주요 관계자가 미국에서 입국해 당시 상황 그대로 탄저균 샘플 검사 및 폐기 절차를 시연할 계획이다.
현장조사는 탄저균 포자 잔류 여부, 탄저균 샘플 반입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 대해 해당 시설과 장비, 노출 우려 인원 등에 대한 관리 및 조치가 국내·외 안전 기준에 부합하게 이뤄졌는지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관련 규정과 안전사항 등 재발방지대책도 검토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4일 미 국방부는 탄저균 배달 사고 진상조사 보고서를 공개하고, 지난 10년 동안 유타주 더그웨이 연구소에서 미국과 해외 7개국의 86개 시설로 살아있는 탄저균이 배달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프랭크 켄달 미 국방부 조달·군수담당 차관은 보고서 공개 뒤 기자들과 만나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 사고에 대해 “변명의 여지가 없는 심각한 실수”라며 “오산공군기지 연구실에만 실험용으로 보내졌으며 다른 곳에는 배달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엔 국방부를 포함해 질병관리본부, 외교부, 산업부, 관세청 등 12개 기관과 민간전문가 등 33명, 주한미군사령부와 합동화생방사업단에서 12명이 참석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