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국회의원 정수 조정 문제와 관련해 “지역구 의원 수가 늘더라도 비례대표를 줄여서 지금의 300석을 유지하는 것이 우리 당의 일반적인 생각”이라고 밝혔다.
야당은 현재 비례대표를 크게 늘리기 위해 국회의원 정수 확대도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으며, 앞서 선관위 또한 지역구와 비례대표 비율을 2:1로 구성하는 개혁안을 제안했던 바 있다. 하지만, 김무성 대표를 비롯해 새누리당 의원들이 이와 정면 배치되는 입장을 가지고 있어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미국을 방문 중인 김무성 대표는 현지시간으로 1일 로스앤젤레스 한 호텔에서 현지 한인언론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이 말하며 “당 대표로서 어떤 직능이든지 한 명도 비례 추천은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전문성 있고 분야별 대표성이 있는 분들이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경쟁을 해야 한다”고 거듭 비례대표 선정 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조했다.
김 대표의 이 같은 발언에 야당은 “기득권정치를 유지하자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2일 현안 브리핑에서 “비례대표를 줄이자는 주장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뽑고, 여성-장애인 등 소수자를 배려해 국회의 전문성과 다양성을 보완하자는 비례대표제도의 취지를 무색케 하는 발언으로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현재의 기득권정치를 고착화하는 무책임한 태도로 정치 혁신과 정치 발전에 거꾸로 가겠다는 것 같아 유감스럽다”며 “여야 동시 실시를 위해 오픈프라이머리 TF를 구성하자는 김무성 대표의 제안도 진정성이 있는지 의문이 간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오픈프라이머리와 관련해 “공동 토론회를 열어 어느 당의 오픈프라이머리 방안이 보다 합헌적이며 개혁적인지 토론하자는 우리당의 제안에 먼저 답하기 바란다”며 “김무성 대표의 제안이 기득권 지키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면 차라리 권역별 비례대표제도와 함께 묶어 논의해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