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대표를 지냈고 대표적인 동교동계 정치인으로 꼽히는 박상천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이 4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7세.
그간 지병으로 인해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던 박 전 대표는 이날 오전 11시 끝내 숨을 거뒀다.
전남 고흥 출신인 박 전 대표는 서울법대 재학중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 20년간 판·검사로 활동하다 지난 13대 총선에서 김대중(DJ) 전 대통령과 인연을 맺어 정계에 입문했다. 박 전 대표는 서경원 전 의원 밀입북 사건 때 당시 야당 총재였던 김 전 대통령의 변호인을 맡아 활약했다.
박 전 대표는 야당 대변인을 거쳐 여야 원내총무 3차례, 국민의정부 초대 법무장관, 새천년민주당 및 민주당 대표, 통합민주당 공동대표 등 주요 직책을 두루 거쳤다.
새정치국민회의 원내총무 시절인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라이벌이자 절친이었던 박희태 당시 신한국당 원내총무와 담판을 벌여 이회창-김대중 후보간 TV토론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박 전 대표는 국회의원으로 5선을 기록하기도 했다. 13대~16대까지 내리 4선에 당선됐으며 18대 총선에서도 당선됐다.
특히, 2003년 9월 새천년민주당 분당 사태 때 ‘정통모임’을 만들었으며 분당 후엔 대표직을 승계해 어지러운 당 상황을 수습하는데 공을 들였다.
2004년 4월 17대 총선에선 인적 쇄신의 대상으로 낙인 찍혀 공천이 취소되는 등의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2007년 4월 군소 정당이었던 민주당 당 대표 경선에서 승리하며 정치적 재기에 성공했고, 2007년 대선 패배 후 이뤄진 야권 통합의 한 축을 이루며 18대 총선에서 원내 복귀에 성공했지만 19대 총선을 앞두고선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금자(65)씨와 아들 태희씨, 딸 민선씨다. 빈소는 서울 강남성모병원 장례식장 12호실. 발인은 6일이며 장지는 경기도 광주 시안 가족추모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