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 초기재원 조성 마쳐…내년부터 본격 추진
GCF, 초기재원 조성 마쳐…내년부터 본격 추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월 이사회에서 최초 사업 승인할 것
▲ 인천 송도에 사무국을 둔 녹색기후기금(GCF)이 올해 102억 달러 규모의 초기 재원 조성을 마쳤다. 이에따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GCF

인천 송도에 사무국을 둔 녹색기후기금(GCF)이 올해 102억 달러 규모의 초기 재원 조성을 마쳤다. 이에따라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GCF는 UN 기후변화협약(UNFCCC) 재정체계 운영기구로, 개발도상국 기후변화 대응 사업에 재원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GCF 사무국은 11월 잠비아에서 열리는 11차 이사회에서 최초 사업을 승인, 12월 파리에서 열리는 UNFCCC 당사국 총회에 보고할 방침이다.

GCF는 지금까지 35개국과 총 102억 달러의 초기 재원을 약속했으며, 7월 말 현재 28개국과 약 58억 달러에 대한 공여협정을 체결한 상태다. 나머지 44억 달러에 대한 공여협정은 올해 말까지 체결할 예정이며, 한국은 지난 6월 공약한 1억 달러에 대한 공여협정을 마쳤다.

GCF 사업은 이행기구 주체로 사업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현재까지 이사회는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유엔개발계획(UNDP) 등 20개 기구를 인증했다. 한국의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도 이행기구 인증 신청을 마친 상태로, 11차 이사회에서 인증을 목표하고있다.

GCF 자금은 사업성격과 사업대상지역 등을 고려해 공여(grant) 또는 양허성 차관(concessional loan)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과 기후변화 적응(adaptation) 분야에 동등한 재원이 배분된다.

기재부는 우수한 사업 모델 개발을 통해 사무국에 제안, 사무국 유치국으로서 GCF의 사업 성공에 기여할 방침이다.

현재 기재부와 관계부처는 ▲페루 습지 보존, 원주민 생활 개선 프로젝트에 신재생에너지와 전력저장장치(ESS) 보급하는 사업 ▲중남미 지역 국가에 쓰레기 매립장에서 나오는 메탄가스 등을 활용한 발전시설 설치 사업 등을 제안할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