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은 12일 북한군 지뢰도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비무장지대에 대한 감시 장비를 보강하는 등 유사 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후속계획을 발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에 제출한 ‘북 비무장지대 지뢰 도발사건 관련 보고’에서 “비무장지대 소초 추진철책 통문과 작전통로의 안전을 확보하겠다”며 “비무장지대 작전주기를 고려해 통로 안전을 확보하면서 적극적인 감시와 대응작전을 시행하겠다”고 천명했다.
합참은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비무장지대 작전 활동을 강화하겠다”며 “불규칙적인 수색·매복을 통해 공세적 작전을 시행하고 적의 습격, 유실지뢰 등 다양한 우발상황에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합참은 “비무장지대 감시 장비를 보강·조정해 중점감시지역 감시 대책을 강구하겠다”며 “근거리 감시레이더 등 감시 장비 운용체계를 보완하고 소초 주변 적 예상 침투로와 귀순로에 대한 감시 장비를 보강하겠다”고 전했다.
또 합참은 “소초 불모지를 점진적으로 확장하고 수목을 제거해 중점감시지역의 감시를 강화하겠다”며 “장기적으로는 소초 중심의 다중복합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군 당국은 수목 제거 방법과 관련해선 1990년 이후 중단됐던 비무장지대 화공작전을 일부 시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했다. 현실적으로 소초에서 30~40m를 벗어나면 수목 제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가을철 수풀이 말랐을 즈음하여 불을 놓아 수목을 제거할지 고려중이다.
한편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는 ‘북한군의 비무장지대 지뢰도발 행위 규탄 결의안’을 전체회의에서 위원회 안으로 통과시켰다.
결의안에는 이번 도발의 책임이 북한에 있으며 정전협정과 남북기본합의서를 위반한 데 대해 진상 규명을 하고 확실한 사과와 책임자 처벌 및 재발방지 약속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 국방위는 우리 정부가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확립하고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처할 것을 주문하면서 유엔 및 관련 당사국들과 대책 마련에 나서는 데에도 긴밀히 공조할 것을 촉구했다.
이밖에 부상 장병과 현장에서 구호활동을 펼친 장병에 대한 예우 및 보훈 방안에 대해서도 결의안에 포함시켰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