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자생생물 ‘신기방기 투성...’
독도 자생생물 ‘신기방기 투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도 자생생물 ‘신기방기 투성...’

독도 자생생물 1576종이 확인됐다.

지난 13일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광복 70주년을 맞이해 독도 생물주권에 대한 근간을 마련키 위해 2013년부터 추진한 독도 자생생물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독도 자생생물 연구 결과, 8월 초 기준으로 총 1,576종의 독도 자생생물이 확인되었으며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신종 5종과 우리나라 미기록종 3종이 포함됐다.

발견된 독도 자생생물 신종은 무척추동물에 속하는 요각류 2종(가칭 독도쿠울노벌레, 큰꼬리나무살이)과 복모류 3종(가칭 재갈입털벌레류, 예쁜털배벌레류, 분지털배벌레류)이며 미기록종은 어류 1종(가칭 독도얼룩망둑)과 무척추동물 2종(가칭 유령비늘갯지렁이, 가칭 호리도롱이갯민숭이) 등이다.

특히 남해와 제주도에서 주로 서식하는 옥돔이 2015년 6월에 발견됐다. 옥돔은 동해 연안에서는 발견하기 힘든 종으로 독도 해역이 남해로부터 올라오는 난류의 영향권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에 확인된 독도 자생생물은 어류 176종, 무척추동물 638종, 해조류 238종, 식물 111종, 곤충 176종, 조류 186종, 포유류 2종, 미생물 49종 등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