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지뢰도발 부인…“우리 군 자작극” 적반하장
北, 지뢰도발 부인…“우리 군 자작극” 적반하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野 “北 주장, 설득력 없어…어이없고 서글프다”
▲ 북한이 14일 그간의 침묵을 깨고 비무장지대 지뢰매설 도발은 우리 군의 자작극이라 주장하면서 증거 동영상을 제시하란 입장을 내놨다. ⓒ뉴시스
북한이 14일 그간의 침묵을 깨고 비무장지대 지뢰매설 도발은 우리 군의 자작극이라 주장하면서 증거 동영상을 제시하란 입장을 내놨다.
 
북한 국방위원회는 이날 오후 정책국 담화에서 “지난 4일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방목리 일대의 군사분계선 비무장지대 남쪽에 위치한 괴뢰헌병초소 주변에서 원인 모를 지뢰폭발 사건이 발생했다”며 “현지에 있는 우리 군인들도 폭발장면을 목격했다”고 진술했다.
 
국방위는 “의문되는 점이 없지 않았지만 남측지역에서 벌어진 일이어서 크게 의심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북도발이라고 괴뢰군부가 떠들고 괴뢰합동참모본부가 외쳐대고 청와대가 악청을 돋우고 나중에는 유엔까지 합세해 우리를 걸고드는 조건에서 그대로 침묵하고 있을 수가 없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국방위는 “일반적으로 반보병지뢰는 자기측 방어구역에 설비하는 것이 초보적인 군사상식”이라며 “군사분계선 남쪽 400m지점에 있는 괴뢰헌병초소 앞에 우리가 자기 방어를 위해 그것도 3발의 지뢰를 매설했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강변했다.
 
또 국방위는 사건 전 기상 상황을 거론하며 “사건이 발생하기 전 이 지역에 150㎜의 폭우가 쏟아져 내렸다고 한다”며 “그렇다면 자연히 아군지역이 아닌 괴뢰헌병초소 주변에 매몰했던 반보병지뢰가 떠내려왔다는 결론이 주어진다”고도 항변했다.
 
그러면서 국방위는 “우리 군대가 그 어떤 군사적 목적을 필요로 했다면 막강한 화력수단을 이용했지 3발의 지뢰 따위나 주물러댔겠는가”라며 “치졸한 사유가 반영된 이따위 수작들에 귀 기울일 사람은 단 1명도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방위는 “괴뢰들이 수거한 우리 군대의 지뢰들을 폭파 제거할 대신 고스란히 보관해뒀다가 여러 곳에 매몰해놓고 이런 모략극을 날조해낸 셈”이라며 “아군지뢰를 갖다놓고 북 도발을 떠드는 것은 미물 같은 짐승도 낯을 붉힐 일”이라며 우리 군의 자작이라고 주장했다.
 
국방위는 이어 “폭발에 피를 흘리는 동료를 질질 끌고나오는 모습도 그렇지만 2차폭발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놀라기는커녕 규칙적이고 태연한 거동은 그 어떤 각본에 따라 연기하는 세련된 배우들을 연상케 한다”고 지적했다.
 
국방위는 그러면서 “남조선괴뢰당국에 정식으로 충고한다. 만약 우리 군대의 소행이라고 그렇게도 우겨대고 싶으면 그를 증명할 수 있는 동영상을 제시하라”며 “그것이 없다면 다시는 북 도발을 입 밖에 꺼내들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또 국방위는 “우리에게는 모든 사건을 군사적으로, 과학기술적으로 까밝히는데서 공정성과 정확성을 기하는 국방위원회 검열단이 현존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은 정책국 담화에 앞서 이날 오후 서해지구 군통신선을 통해 전선서부지구사령부 명의의 전통문을 우리군 합동참모본부로 보냈는데 “이번 비무장지대 지뢰도발사건은 우리와 무관하다”며 대북심리전 방송 재개 등 우리 군의 조치를 ‘무모한 군사적 도발행위’로 규정했다.
 
아울러 북한은 “자신들과 맞설 용기가 있다면 전장에 나와 군사적 결판을 내보자. 차후 움직임을 예리하게 주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반응에 대해 정치권은 여야 한 목소리로 북한을 성토했다.
 
새누리당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같은 날 오후 구두논평을 통해 “북한이 지뢰폭발 당시 우리 병사들의 움직임에 대해 각본에 따라 태연하게 연기하는 배우들을 연상케 한다는 막말까지 했다”며 “어이없고 서글픈 일”이라고 개탄했다.
 
김 대변인은 “박왕자씨 조준사격과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에 이은 지뢰매설 도발은 북한군의 비인도성의 극치”라며 “국제사회는 북한을 인권유린의 3류 국가로 인식한다는 것을 깊이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일갈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수 대변인도 같은 날 추가 브리핑을 내고 “사건 발생 열흘 만에 관련 사실을 부인하고 나선 것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며 “자기들 짓이 아니라면 즉각 부인했어야지 이제 와서 국제 사회의 비판을 피해보려는 매우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여러 정황으로 볼 때 북한의 소행일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라 북한의 사과와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를 촉구한다”며 “더 이상의 도발 행위를 중단하고 분단 70년의 상처를 하루빨리 치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 자세로 남북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