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정권 창출은 보수대혁신으로
한나라당의 정권 창출은 보수대혁신으로
  • 정흥진
  • 승인 2006.06.27 1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태희 의원, "한나라당뿐 아닌 보수 전체가 혁신 되어야"
한나라당 임태희 의원은 2007년 대선전략으로 당 안팎에 3가지 입장이 있다고 밝히고, 그것은 첫째도 ‘보수대혁신’, 둘째도 ‘보수대혁신’, 셋째도 ‘보수대혁신’이라고 강조했다. 27일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에 이 같은 보도자료를 낸 임 의원은 당 안팎의 첫 번째 대선전략으로 “우파 대연합론”을 들었다. 임 의원은 “우파가 뭘 잘못한 게 있나, 우리끼리 뭉치면 승리할 수 있다”는 일부의 주장 등에 대해 ‘보수 총궐기론’, ‘우파 연합론’, ‘선진화 세력 대통합론’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임 의원은 “이런 논리로는 45% 이상의 지지를 결코 얻을 수 없다”며 “이 논리로 우리가 지난 두 번의 대선 실패를 겪었다. 이 사람들이 다 한나라당을 찍고도 진 것이다. 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은 이미 검증되었다”고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자신들끼리만 나가서 투표하면 지방선거나 재보궐선거에서는 이길 수 있을지 모르나, 대선에서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는 논리다. 임 의원은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자기반성’이 빠져 있음을 지적했다. 자기반성이 빠져 있으면 중도의 지지를 끌어낼 수 없고, 그러면 대선에서 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둘째로 임 의원은 ‘호남 연대론’에 대해 거론했다. “시장주의자니 우파 공동체니 하는 포장을 해도 알맹이는 호남과 연대하자는 것”이라고 반박하는 임 의원은 “남경필 의원의 ‘공동체를 위한 시장주의자들의 통합, 우파공동체세력의 통합 속에서 한나라당과 호남의 연대‘는, 말은 시장이니 우파니 해도 결국 호남과 연합하자는 것”이라며 “‘가질 수 있는 권력을,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과 나눌 수 있다는 기득권 포기 자세가 없으면 집권도 어렵다’는 남 의원의 주장은 결국 호남 등의 유력 정치인들에게 권력을 나눠주고 표를 얻자는 것”이라고 폄하했다. 남 의원의 이 같은 주장은 결국 전형적인 지역 연합론이라고 단정 지은 임 의원은 “DJP 연합도 ‘지역 등권론’이라는 그럴듯한 논리로 포장했지만, 결국 지역연합이었다”며 “한국 정치의 전형적인 퇴행 정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 같은 남 의원의 논리에 대해 노 대통령의 대연정론과 빗댄 임 의원은 “이념도 원칙도 없는 자기 부정”이라며 “호남의 우파 시장주의자들이 지난 대선에 왜 한나라당을 지지하지 못했는가에 대한 반성이 없는 정치공학적 접근”이라고 자기반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지막 세 번째로 임 의원은 “보수대혁신론”을 주장했다. 이는 한나라당의 집권은 한나라당만이 아닌 보수 진영 전체의 대혁신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것으로 “6월 KSOI의 여론조사 결과와 같이 우리 국민의 58%가 ‘성장과 발전을 중시하는 보수안정세력이 국가를 주도해야 한다’고 응답했다”며 “국민들도 국가 경영만큼은 보수가 맡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임 의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을 흔쾌히 지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보수가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도덕성과 공정성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한나라당만의 불신으로 한나라당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는 임 의원은 “한나라당 바깥에 있는 전체 보수 진영의 도덕성도 같이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임 의원은 보수가 대혁신을 하기 위해서는 “불법 상속 문제를 보석금조의 수천억 원 돈으로 해결하려는 재벌, 대형 교회 세습하는 종교계, ‘권위’는 없고 ‘권위주의’만 있는 학계, ‘정론’보다 ‘상업주의’에 물든 언론 등, 모든 보수가 혁신해야 한다”며 “‘기득권만 있는 수구’라는 오명을 떨쳐 내야 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따라서 임 의원은 한나라당만이 아니라 보수 진영 전체가 혁신이 되어야 한나라당이 집권할 수 있는 것이라며 “보수 진영 전체의 혁신을 한나라당이 주도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한나라당이 먼저 혁신해야 한다”고 ‘보수대혁신’의 핵심이 당의 혁신에서부터 비롯됨을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