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에서 실행하는 무전통화시스템 도입
모바일에서 실행하는 무전통화시스템 도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지하철 운영기관 중 서울도시철도가 처음
▲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상 무전통화시스템을 8월17일 부터 업무에 적용한다고 밝혔다.ⓒ서울도시철도공사
지하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열차무선시스템이 고장 나면 상황을 전할 수 없어 피해가 커질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이제 이중의 안전망이 갖춰져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됐다.
 
지하철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금 운영 중인 열차무선시스템과는 별도로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상 무전통화시스템을 도입해 오는 17일부터 업무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국내 지하철 운영기관 중에서 무전통화시스템을 도입한 것은 공사가 처음이다.
 
이는 지난해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사고 이후 선정된 서울시의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안전 개선과제’ 중 하나로, 공사 관계자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존의 열차무선시스템이 고장 등으로 역할을 하지 못해도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번에 도입한 무전통화시스템은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한 후 LTE 데이터를 활용해 등록된 사용자끼리 통신하는 방식이다. 앱을 사용하려면 인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보 유출의 위험이 적고, 대부분의 직원이 항상 스마트폰을 지니고 있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상황전파가 가능한 것이 큰 장점이다.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 사이의 무전통화가 가능하도록 설계됐으며,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 종합관제센터에서의 비상호출, 우선통화 기능도 갖췄다.
 
또 공사 직원의 인사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해 그룹별 채널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했다. 5~8호선 내의 기관사, 역직원, 지하철보안관 등 다양한 직군의 직원들이 필요에 따라 채널 구성원을 선정해 무전을 주고받을 수 있다.
 
공사 김태호 사장은 “안전은 지하철을 운영하는 우리 공사가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것”이라며, “시민이 항상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2중, 3중의 안전망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민경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