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6주기를 맞은 18일, 여야를 아우른 정치권 주요 인사들이 한 목소리로 김 전 대통령의 공을 높이 평가하고 나섰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오전 국립현충원 현충관에서 거행된 추도식에 참석해 “대통령께서 열어놓으신 한반도 평화의 길, 통일의 길이 컴컴한 안개 속에 갇혀버린 것이 너무도 안타깝다”며 “얼마 전 북한은 일방적으로 표준시를 변경하고, DMZ에서 지뢰 폭발사고를 일으키는 등 북한은 한반도 평화에 역행하는 일을 계속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정 의장은 그러면서 “광복 70주년인 올해를 이대로 보낼 수는 없다”며 “대통령님께서 항상 강조하셨듯 통일은 우리가 반드시 가야할 길”이라며 “우리가 21세기 문명의 시대를 리드하고 진정한 선진강국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도 우리는 반드시 통일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서는 대화와 교류, 인도적 지원 외에 다른 길은 없다”면서 “남북이 서로를 인정하는 가운데 오고 가고, 그리고 돕고 나누면서 작은 신뢰를 꾸준히 쌓아가야 한다”고 덧붙여 말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또한, 추도식 후 기자들과 만나 “김대중 대통령의 공을 더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는 “김대중 대통령께서는 불굴의 의지로 우리나라 민주화를 만드신 큰 지도자이며 남북화해의 길을 열어준 분”이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역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을 통일의 문을 연 대통령으로 기록할 것”이라며 “김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 정치사상에서 폭을 넓혀주고, 또 균형을 갖게 해주신 분”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문 대표는 이어, “만약 김 전 대통령이 계시지 않았다면 우리나라는 정치이념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나라가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전 대통령은 햇볕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대북정책과 동북아외교에서 우리의 입장을 갖고 주도적으로 문을 열어나갔던 분”이라며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에게 가장 부족한 점이 바로 그 점”이라고 꼬집었다.
문 대표는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6주기를 맞으면서 그분의 경륜이 새삼 그립다”고 덧붙여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