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국가 문화재로 등록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 국가 문화재로 등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대형 불화
▲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가 등록문화재 제649호로 등록됐다. ⓒ뉴시스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가 등록문화재 제649호로 등록됐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에 있는 대성암 소장 ‘고양 대성암 아미타삼존괘불도’가 등록문화재 제649호로 등록했다고 21일 밝혔다.
 
‘괘불도’는 야외에서 개최되는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대형 불화이다.
 
이번에 등록된 괘불도는 가로 305㎝×세로 553㎝ 크기로, 1928년 향암 성엽(香庵 性曄)이 제작했다고 밝혀져 있다. 전면에는 삼존불을 내세웠으며 그 뒤쪽으로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그려 화면에 꽉 차게 담은 간단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
 
괘불도 상단의 좌우에는 천으로 만든 복장낭(腹藏囊) 2개가 달려있는데, 복장낭은 불화를 조성한 뒤 불경 등 복장품을 넣는 주머니로서, 20세기 전반경 괘불 봉안의식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괘불도의 두드러진 점으로는 음영법의 사용을 들 수 있다. 특히 신체의 윤곽선에는 음영을 주었으며 중앙의 본존불 법의(法衣)에도 윤곽선을 먹으로 그은 후 선을 덧대어 입체감을 살렸다. 채색은 황색, 주황색, 청색, 흰색 등 근대기 불화에 많이 사용된 색상을 사용했다. [시사포커스 / 여민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