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총리와도 같은날 면담…2박3일 일정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31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의 2박3일 중국 방문 일정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2일 중국 베이징에 도착, 첫 번째 일정으로 인민대회당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양국 정상은 이번 회담을 통해 한·중 관계 전반과 한반도 및 지역 정세 등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주 수석은 “이번 정상회담은 양국 정부 출범 후 2년 반여 동안의 양국 관계 발전을 평가하고 그 성과를 앞으로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를 대비하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 수석은 이어 “이번 회담이 전승 70주년 기념행사 계기에 개최되는 만큼 전후 70주년, 또 우리의 광복 70주년 및 분단 70년의 역사적 시점과 의미에 부합하도록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소중한 계기가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또 같은 날 오후 인민대회당에서 리커창 총리와 면담을 갖고 한·중 관계 발전방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양국 간 주요 관심사항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특히, 최근 증시 폭락과 위안화 평가절하 등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중국의 경제상황과 함께 국내 여파 등에 대해 논의가 이뤄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또한 박 대통령은 같은 날 저녁 시 주석 내외가 주최하는 참석 정상 환영만찬에 참석한다.
다음날인 3일 오전에는 톈안먼(天安門) 광장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전승절 행사)에 참석한다.
전승절 행사는 기념촬영 및 기념대회 참관에 이어 인민대회당에서 열리는 시 주석 초청 오찬 리셉션 등의 순으로 이어진다.
전승절 행사 가운데 가장 관심이 모아지는 열병식에는 총 1만2000여명의 병력, 40여종의 장비 500여대 및 20여종의 항공기 200대 등이 동원돼 70분에 걸쳐 치러질 예정이다.
주 수석은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과 관련해선 “중국과의 우호협력 관계 증진의 필요성과 함께 북핵문제 해결 등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및 평화통일 촉진에 대한 중국의 기여와 역할을 기대한다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리셉션 참석 이후 오후에는 상하이로 이동한 뒤 4일 오전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에 참석한다.
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은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에서 한·중 공동으로 개최된다.
주 수석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 참석에 대해 “우리 선열들이 항일 독립운동과 항쟁을 전개한 곳이 바로 중국 대륙이었다는 점에서 우리 독립 항쟁의 역사를 기리는 측면을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같은 날 오후 동포 오찬간담회를 갖고 한·중 비즈니스포럼에서 연설을 한 뒤 귀국길에 오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