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급감에 대비한 선제적 구조 개혁 불가피”

이번 구조개혁 평가 결과에 따라 대학들은 1차로 2016년까지 5439명의 정원을 감축하게 됐다.
이번 평가에는 대학을 A, B, C, D, E 등 5등급으로 나누고 등급에 따라 인원 감축, 재정지원 사업 참여 제한, 국가장학금 제한, 학자금 대출 제한 등의 불이익이 따른다.
우선 가장 높은 등급인 A등급에는 일반대 163개교 중 34개교가 지정됐다. A등급 대학은 가천대, 가톨릭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국민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세종대, 숭실대, 아주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등 34 곳으로 확인됐다.
A등급 대학을 제외한 나머지 대학은 적게는 3%에서 많게는 15%까지 정원을 줄이고 교육부의 각종 재정지원사업에서 제외되는 등 불이익이 발생하며 학생들이 가정형편에 따라 받는 국가장학금도 받지 못하고 학자금 대출도 50~100% 제한된다.
이런 조치는 대학에 입학할 나이의 인구가 빠르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급감에 대비한 선제적 구조 개혁에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라 이런 조치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시사포커스 / 구신모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