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이르면 내주 초에 단행할 부분개각은 단순한 '보각(補閣)'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교체 대상 부처로 재정경제부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등 부총리급 2자리가 포함된 데다 장관급인 대통령 정책실장까지 교체되기 때문.그동안 여당 내에서는 5·31 지방선거의 참패를 계기로 경제·교육부총리를 물갈이하는 '7월 개각설'이 꾸준히 흘러나왔으나 청와대 측은 "'수요가 발생하면 개각한다'는 게 기본원칙이지만 개각은 검토되지 않고 있다"며 일축해 왔다.
그러나 청와대는 지난 30일 입장을 바꿔 '내주 초 개각' 단행을 공식화하면서 재경부와 교육부,기획예산처 등 3개 부처 장관과 대통령 정책실장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청와대는 이번 개각이 결코 '문책성 인사'가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지만,경제·교육부총리 교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경질 성격이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물론 이번 개각은 5·31 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한 이후 이완 조짐을 보이고 있는 공직기강을 다잡고 여권 내부의 민심수습 및 인적개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인적 쇄신'의 의미도 담고 있다.
이는 한덕수 경제부총리와 김진표 교육부총리가 최근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모두 사의를 표명한 데서 알 수 있다.
한 경제부총리는 통상전문가로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에 주도적 역할을 해 왔으나 외환은행 헐값 매각 등으로 전·현직 재경부 관료들이 줄줄이 감사원의 감사 또는 검찰수사를 받고 있는 만큼 분위기 일신 차원에서 교체설이 제기돼 왔다.
김 교육부총리는 학교급식 식중독 파문,외국어고 모집 지역제한 등 논란으로 꾸준히 교체설이 제기돼 온 게 사실이다.
무엇보다 이번 개각에서는 전·현직 대통령 참모진들을 전진배치한 게 특징으로 꼽힌다.
권오규 대통령 정책실장과 김병준 전 대통령 정책실장이 경제·교육부총리에 각각 기용되면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인 김우식 과학기술부총리까지 합쳐 3개 핵심부처의 부총리급 장관이 모두 노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들로 채워지게 된다.
결국 노 대통령은 참여정부의 국정철학을 꿰뚫고 있는 전·현직 참모진을 재경·교육·과기부 등 핵심 부처에 전진배치함으로써 임기 후반기 '친정 체제'를 한층 공고히 해 국정 장악력을 높이는 한편 핵심 국정 어젠다를 한층 과단성 있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