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개혁, 국민과 함께 해야…청년 일자리 위해 ‘사회적대타협’ 제안”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진행된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경제정책의 대전환, 우리 경제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한 때”라면서 “성장전략을 전환하고 경제민주화로 처방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는 “내수와 소비가 이끄는 소득주도 성장전략으로 전환이 필요한 때”라면서 “경제민주화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과 여당이 대선때 공약한 경제민주화 공약부터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여야가 경제민주화특위를 구성해 실행 가능한 것부터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동·개혁·금융·공공 부문의 4대 개혁에 대해선 “정부는 대통령이 대선 때 국민 앞에서 약속한 경제민주화 공약, 재벌개혁 공약 등부터 이행해야 한다”며 “(또한) 개혁은 국민을 대상으로 해선 안되고 국민과 함께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4대개혁에는 재벌개혁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노동개혁’에 대해선 “노사정이 청년,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연대로써 힘을 모아야 하며 특히 공기업을 포함한 재벌, 대기업, 노사의 양보와 정부정책의 전환이 그 출벌점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고를 쉽게 하고 비정규직을 늘리는 노동개혁은 포기하고 청년, 비정규직 일자리 해결에 힘을 모으자”며 “청년 일자리를 위하여 사회적대타협을 각계에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그간 우리 정치와 정당이 제대로 서지 못한 것은 국민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저부터 반성한다”며 “정치가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선 국민의 뜻을 최대한 소중히 하는 선거제도가 반드시 정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독일식 권역별비례대표제 도입을 재차 촉구했다.
남북문제와 관련해선 “남북합의서 체결과 남북협력공동사무국 설치를 제안한다”며 박 대통령을 향해 “올 해가 가기 전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열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여야 원내대표를 공동대표로 한 남북국회회담준뷔위를 구성, 북측에 광복 70주년을 기념한 남북국회회담을 제안하고 올해 안에 개최하기로 하자”고 밝혔다.
대외관계와 관련해선 “미국과 중국 양국관계 둘 다 포기할 수 없다”며 “미국, 중국과의 관계는 장기적인 국가의 안보와 미래를 고려해 지혜롭게 풀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밖에 ▲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 중단 ▲의회주의 복원 ▲검찰수사의 중립성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제도적 차단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