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행 “이산가족 상봉논의, 진지한 자세로 접촉”
이덕행 “이산가족 상봉논의, 진지한 자세로 접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北도 중요소식으로 ‘상봉 합의’ 이례적 신속 보도
▲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통일부 통일정책협력관)은 8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과 관련해 “지난 8ㆍ25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남북간 첫 만남이자 이산가족들의 염원을 풀어드리기 위한 인도적 문제들을 논의하는 자리인 만큼 남북한 모두 진지한 자세로 접촉에 임했다”고 밝혔다. ⓒ뉴시스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통일부 통일정책협력관)은 8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과 관련해 “지난 8ㆍ25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남북간 첫 만남이자 이산가족들의 염원을 풀어드리기 위한 인도적 문제들을 논의하는 자리인 만큼 남북한 모두 진지한 자세로 접촉에 임했다”고 밝혔다.
 
실무접촉 남측 수석대표를 맡았던 이 실행위원은 이날 오전 판문점에서 북측과의 실무접촉을 마친 뒤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실무접촉 결과 브리핑 중 이같이 말했다.
 
이 실행위원은 “접촉에서 우리 측은 전면적 생사주소 확인을 위한 명단 교환과 상봉정례화, 서신교환 등 이산가족문제의 근본적 해결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북측의 전향적인 태도변화를 촉구했다”며 “반면에 북측은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대한 실무적 논의에 집중할 것을 주장했다”고 당시 양측의 시각차를 전했다.
 
남북 적십자 실무단은 이번 이산가족 상봉을 논의하기 위해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전날 오전 10시50분부터 이날 오전 10시10분까지 24시간 가까이 협상을 벌인 끝에 2개항의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 합의서’를 내놨다.
 
특히 이 합의서 1항 2목에 명시된 ‘생사확인 의뢰서는 9월 15일에, 회보서는 10월 5일에, 최종명단은 10월 8일에 교환하되, 생사확인 의뢰대상은 남측은 250명, 북측은 200명으로 한다’는 문구와 관련해 이 실행위원은 “국군포로 이산가족 문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일반 이산가족 명단이 200명이라면 국군포로 이산가족 명단 50명이 추가된 것”이라고 밝혀 남북간 생사확인 의뢰대상 수 차이에 대한 기자들의 궁금증을 풀어줬다.
 
그는 또 “(국군포로 이산상봉을 신청한) 이들은 북쪽 가족이 확인되면 100% 상봉단에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과거 이산가족 상봉 때도 이 같은 방식으로 북측에 국군포로 생사확인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이 실행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중 발언에 대한 북측의 불만 제기가 있었느냐’는 질의엔 “전혀 없었다”고 답변했다.
 
한편 이날 북한도 다음 달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에 남북이 합의한 데 대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이례적으로 신속히 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오전 11시를 조금 넘겨 ‘북남 적십자실무접촉 진행’이란 제목의 ‘중요소식’으로 “남북 적십자 실무 접촉이 7일과 8일 판문점에서 있었다”며 “쌍방은 추석을 계기로 흩어진 가족, 친척 상봉을 진행하는 데서 생기는 실무적 문제들을 협의하고, 합의서를 채택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조선중앙통신은 “남북은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기로 했으며 가까운 시일 안에 적십자 회담을 열고 공통 관심사에 대해 폭넓게 협의해나가기로 했다”고도 밝혔다.
 
다만 양측 각 100명씩인 상봉 규모에 대해서나 생사 확인 의뢰서 교환 등 세부 내용과 관련해선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보도는 북한 매체들이 통상 몇 시간에서 길게는 며칠씩 지연 보도하는 경향에 비쳐 비교적 신속히 전한 편으로 알려졌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