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최저 21.5%에서 최고 83.2%까지 수의계약 해 와

8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민희 의원이 미래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미래부 산하 연구기관별 고가장비 구입현황’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1개 산하기관 중 상위 5개 기관이 평균 최저 21.5%에서 최고 83.2%까지 수의계약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기관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기관의 3년 평균 수의계약율이 4.6%인 점을 감안하면 최대 18배나 높은 수치인 것이다.
상위 5개 기관의 최근 3년간 수의계약율을 살펴보면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전체 410건 중 341건(83.2%)으로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한국천문연구원이 64.5%(62건 중 40건),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38.5%(13건 중 5건), 항공우주연구원이 37.6%(287건 중 108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26%(166건 중 43건) 순이었다.
이러한 5개 기관의 수의계약 사유는 1인 생산자(독점생산·독점수입)가 278건(51.8%)으로 최다였으며, 경쟁이 비효율적이라는 이유가 151건(28.1%), 재공고가 77건(14.3%), 기타가 31건(5.8%)으로 뒤를 이었다.
기관별로 봤을때의 수의계약 금액비율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약 400억원 중 305억원(76.3%)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의계약 건당 평균 구입액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억700만원으로 최대였다.
이에 대해 최민희 의원은 “수의계약율이 가장 높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감사실이 전자조달시스템을 이용하라는 개선 요구만 했을 뿐 구매 적정성 및 세부감사를 하지 않았다”며 “일부 연구기관의 도 넘은 장비 수의계약은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배임행위이자 관련 업계의 공정한 경쟁과 기회를 박탈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한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수의계약율을 지난해 50%, 올해 현재 37%로 낮췄다고 밝혔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