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당국자 회담‧北수해지원 모두 미정

북한 대남기구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이날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를 통해 “이번 북남 고위급 긴급접촉 합의에 따라 북남관계를 실질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중요한 방도의 하나가 바로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조평통은 이어 “말로는 합의 이행을 떠들면서 신중성을 기한다며 뒷짐을 지고 협력과 교류의 실천적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그것이야말로 이번 합의에 대한 신중한 태도가 아니다”라며 “지금 온 겨레는 북과 남 사이에 대화와 협력, 교류의 물꼬가 하루빨리 터지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우리정부는 이런 북한의 제안에 신중한 반응을 보였는데 통일부 관계자는 “(야구를 할 때) 안타도 많이 쳐야지 홈런 1방으로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런 분위기를 전했다.
이 관계자는 남북 당국자회담 준비를 위한 남북간 논의에 대해서도 “아직 결정된 게 없다”며 “상품이 다 만들어지면 출시를 해야 하는데 아직 물건을 만드는 과정이다. 시장 상황을 봐야 하므로 아직 그것까지 고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처럼 정부는 남북교류 협력과 관련해 급속한 진전을 추구하기 보단 당면한 이산가족 상봉 등 단계적인 합의사항 이행을 통해 양측 신뢰를 쌓아가는 데에 중점을 두고 교류 협력 확대는 장기적 차원에서 다루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그래선지 정부는 남북 교류협력 차원에서 북한 나선지역 수해피해를 지원하는 데 대해서도 북한으로부터 수해피해 지원 요청이 있어야 지원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고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 방송을 보면 복구 작업이 잘되고 있다고 나온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의 의사다. (지원을)받고자 하는 사람의 수요와 욕구가 있어야 하는데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