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이하 청년 신용불량자 49.7%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유승희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1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를 통해 통신요금 연체 현황을 파악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드러났다.
유 의원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의 통신요금 연체자는 236만4천850명으로 집계됐으며, 액수로는 1조2천234억4천400만원에 달했다.
통신요금 연체자를 연령대별로 살피면 40대가 50만2천793명(2천755억7천9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30대(46만4천983명·2천833억6천100만원), 20대(45만2천157명·2천637억8천700만원) 순이었다. 이와 더불어 미성년자가 14만3천333명(340억5천800만원)으로 6.1%를 차지했다.
이를 따져보면 30대 이하 청년 연체자가 45%(92만여명)에 달하는 셈이다. 특히 SK텔레콤의 경우 연체 금액이 100만 원 이상이 되면 채무불이행자로 등록하고 있는데 지난 7월 기준으로 3만7천여명이 신용불량자로 등록됐다. 또한 이들 가운데 30대 이하 청년 신용불량자가 49.7%로 거의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청년실업이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에서 통신요금 연체로 인해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일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청년층을 위한 저렴한 통신요금제를 마련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더불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국가별 1위 이동통신사업자의 기본요금제 개수를 비교할 때 우리나라는 50개로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히 많다”고 지적했다.
또한 유 의원은 “지나치게 많고 복잡한 요금제는 오히려 소비자 혼란을 가중시키고 요금제 선택을 방해하는 부작용이 클 것”이라며 “요금제를 단순화해 이용자가 이용 패턴에 맞는 요금제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