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확인된 5일 새벽부터 통일부와 외교통상부, 국방부 등 관계부처도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통일부와 외교부도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고,국방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5일 전군에 군사대비태세를 강화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군사대비태세는 △24시간 상황실 근무를 강화하는 상황근무체제 △대북 정보감시 강화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포함한 육.해.공 경계태세 강화 등으로 이뤄진다.
국방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인 이날 오전 4시 30분께 정보, 작전, 공보 요원들을 대상으로 ‘긴급조치반’을 가동하고 상황파악과 대책마련에 돌입했다.
▲ 5일오전,국방부 고위관계관 대책회의
윤광웅 국방장관과 이상희 합참의장, 이성규 합참 정보참모본부장, 김태영 합참작전참모본부장 등 군 수뇌부는 이날 오전 5시 이전에 모두 집무실로 출근해 위기관리위원회를 소집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상황파악과 함께 향후 대책 등을 논의했다. 위기관리위원회는 국방부장관을 비롯한 합참의장, 국방부 정책홍보본부장, 합참 정보.작전참모본부장, 국방부 정책기획관 등 주요 인사들로 구성됐다.
버웰 벨 주한미군사령관도 이날 오전 7시5분께 국방부 청사를 방문해 이상희 합참의장 등과 상설 한미군사위원회(MCM)를 개최하고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정보를 교환하는 한편,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한편 국방부는【 정부의 수차례에 걸친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7월 5일 새벽 수발의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이는 동북아 및 한반도의 지역정세를 불안정하게 하는 행위로서 매우 유감스럽고 우려되는 행위이다.
우리 군은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대처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야기될 수 있는 모든 안보적 우려에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이다.
우리 군은 연합감시태세와 대북 감시활동을 강화한 가운데 접수된 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획득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며, 북한 미사일 발사 관련한 국방부 입장을 공식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