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생산 점유율 증가에 만족…이미지 하락도 ‘발목’

1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석탄공사는 11년째 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갈수록 줄어드는 연탄수요 탓에 한숨이 더 짙어지는 모습이다. 이에 정부가 매년 500억원 이상을 수혈하고 있지만, 수요가 크게 늘지 않는 이상 장밋빛 전망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대한석탄공사 측 역시 국내 생산비중 증가에 만족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이 비중이 증가하면서 적게나마 올해 실적의 소폭 상승이 기대된다.
대한석탄공사 김동환 기획조정실 기획전략팀장은 <시사포커스>와의 통화에서 “2015년까지 총 357억원의 부채감축 계획이 있다”라며 “2009년 54%였던 석탄생산 점유율이 2014년 59%로 상승했다. 현재까지는 국내생산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계획은 인력구조조정(97억원), 자산매각(80억원), 경영효율화(140억원), 기타(40억원) 등을 이뤘을 때 기대되는 감축비용이다.
◆위로금 명목 혈세 낭비…이미지 실추
더구나 대한석탄공사를 둘러싸고 최근 잇따라 일고 있는 잡음들 탓에 이미지마저 실추됐다. 대한석탄공사가 인력삭감을 명분으로 직원들의 조기 퇴직을 유도하면서 위로금 명목으로 수천억원 세금을 낭비한 것으로 드러나면서다.
한 직원은 정년퇴직까지 불과 한 달여를 남긴 상태에서 조기 퇴직하면서 3억여원을 챙겼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전순옥 의원에 따르면 석탄공사가 지난 10년간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의 일환으로 1022명의 인력을 삭감, 혈세 2076억원을 낭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는 1980년대 후반 광물 수요가 줄자 일부 광산을 폐광하는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을 폈는데, 이 정책에 따라 석탄공사도 인력 감축에 들어갔고 조기 퇴직자들에게 감축지원금 명목의 위로금과 별도의 퇴직금을 제공했다.
1994년 부도 이후 대출금 이자로만 매년 수백억원을 지출한 석탄공사가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은 조기 퇴직자들에게도 억대 위로금을 제공했다는 점도 드러났다.
대한석탄공사는 지난 10년간 747명이 정년이 3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조기 퇴직을 신청했다. 이들은 1인당 적게는 1억1100만원부터 많게는 4억600만원까지 챙겼다. 747명이 퇴직하며 받은 돈은 총 1539억원에 달했다.
정년을 1년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조기 퇴직을 신청한 직원도 256명이나 됐다. 이들 중 박모씨 등 22명은 정년퇴직을 한 달 남겨 둔 2011년 5월31일 퇴직했다. 박씨가 가장 많은 2억4600만원을 타냈고, 가장 적게 받아간 직원도 1억3400만원을 챙겼다. 이들 22명이 챙긴 돈만 39억원에 달한다.

또 “산업부는 지금까지 거짓 감산정책으로 국민혈세만 낭비했다”라며 “지금이라도 감산정책에 하청업체 노동자들까지 포함시키는 계획을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회사는 망하는데···임원들 ‘억대 성과급잔치’ 구설도
회사는 망해가는데 임원들은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는 지적도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는 모양새다. 대한석탄공사는 해마다 1000억원에 가까운 적자와 이자에 회생조차 어려워진 가운데 임원들은 억대 성과급 잔치를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석탄공사의 지난해 부채는 1조5604억원에 달했다. 이 기간 당기순손실도 1조2698억원을 기록해 연평균 501억원의 이자를 물어냈다. 반면 임원들은 고액의 성과금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박 의원에 따르면 석탄공사는 최근 3년간 사장, 감사, 상임이사(2명) 등 4명의 임원들에게 성과급 2억1841만원을 지급했다.
사장은 6191만원, 감사는 6994만원, 상임이사 2명은 각 4328만원의 성과급을 챙겼다. 사장 급여는 지난해보다 올랐다. 지난해 성과금 1476만원이 지급된데 이어 올해는 연봉이 9857만원에서 1억631만원으로 오르고, 상여금은 4722만원으로 인상됐다.
감사 역시 7889만원의 연봉에서 8553만원으로 올랐으며, 상임이사 2명은 8578만원에서 9242만원으로 올랐다. 상여금도 1180만원에서 3148만원으로 올려 받았다.
박완주 의원은 “석탄공사는 손실을 보전해주는 정부의 지원을 믿고 대책없이 버티며 임원들은 성과급을 꼬박꼬박 받아가고 있다”며 “석탄공사가 자력으로 더 이상 버틸 수 없다면 해산 또는 합병을 고려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시사포커스 / 신현호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