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 단결 위한 작업 본격적으로 해야”

김상곤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중앙위원회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현명한 중앙위원들이 오늘 제출된 당헌개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어 “이제 또다른 시작”이라며 “당원과 국민들께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경로로 이어질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낙관했다.
그는 일각에서 혁신안이 미흡했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 “혁신안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을 갖고 있는 분들이 있지만 오늘 중앙위에서는 전체적인 틀, 골자들이 받아들여졌다”며 “그동안 최선을 다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혁신안이기에 중앙위원들이 이의를 달지 않고 통과시켜줬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김 위원장은 “혁신의 기틀을 다지면서 당 지도부와 중요한 분들이 통합과 단결을 위해 나아가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해야 한다”며 “당의 체질과 문화를 바꿔 한국정치의 미래를 바꾸는 것이 당이 해야 할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통과된 공천혁신안은 여야 합의를 거쳐 안심번호제를 도입할 경우 국민공천단 10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고, 도입되지 못할 경우엔 국민공천단 70%에 권리당원 30%로 구성한다는 내용으로 부득이하게 후보자간 합의, 선거인단 미구성 등 사유가 있을 때만 최고위원회의 의결로 이를 바꿀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안심번호제란 전화번호 대신 암호화 프로그램이 만들어낸 가상번호를 써서 여론조사의 조작·왜곡 우려를 불식시키고 개인정보 유출도 막겠단 제도로, 국회 정개특위에서도 도입하려는 중이다.
또 경선 가산점제도 도입되는데 청년 후보자에 대해선 만 29세 이하는 25%, 만30세 이상 35세 이하는 20%, 만 36세 이상 42세 이하는 15%의 가산점을 주게 되며 여성과 장애인에 대해선 기존 20%에서 25%로 가산점을 높였다.
정치신인의 경우엔 10%의 가산점을 주지만, 전·현직 의원이나 기초단체장, 지역단체장, 재선 이상의 광역의원,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로 추천됐던 자, 동일 선거구에서 당내 경선에 참여한 자 등은 그 대상이 아니란 조건을 달았다.
가산제 외에 감산제도 적용될 전망인데 임기의 4분의 3을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중도사퇴한 선출직 공직자에 대해서는 경선에서 자신이 받은 득표수의 10%를 감산하게 되며 ‘대선후보 경선’의 경우에만 이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밖에 결선투표제도 도입돼 최종 후보자 선출에 두 차례 선거를 거치게 되는데 1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1, 2위의 득표자만으로 최종 후보자를 뽑는 제도다.
아울러 지도체제도 바뀌게 돼 내년 4월 총선 이후 현행 최고위원회를 해체하고, 11명의 대표위원회 체제로 개편될 예정인데 대표위원회는 당대표 1인, 5개 권역의 대표 5인, 여성·청년·노동·민생각 분야 1명씩 대표 4인, 당연직 원내대표 1인 등 11명으로 구성될 방침이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