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전후 입장 밝힐 때 왔다…늦으면 여러 혼선 겪을 수 있어”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은 17일 김무성 대표가 강력 추진하고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와 관련, 김 대표를 향해 어떻게 할 것인지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안이 통과되면서 야당과 같이 해야하는 오픈프라이머리가 어려움에 봉착한 것 같다”며 “이 문제에 대해 김무성 대표가 정치 생명을 걸고 관철하겠다는 한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김 대표의 떳떳한 이야기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 최고위원은 이어 “우리가 야당에 언제까지 질질 끌려갈 수 없는 것이고 반개혁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안하는 것으로 비쳐져선 안된다”며 “국감 전후로 김 대표의 입장을 밝힐 때가 왔다”고 압박했다.
서 최고위원은 또 “(총선을 앞두고) 경선이 얼마 안남은 상황에서 늦으면 여러 혼선을 겪을 수 있다”고도 했다.
오픈 프라이머리를 추진하기 위해선 야권과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전날(16일) 100% 국민공천단 구성 등을 골자로 한 혁신안을 당 중앙위원회에서 의결, 김 대표가 추진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이 더욱 힘들게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친박계는 김 대표의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여왔다. 친박계 핵심인 홍문종 의원은 연일 라디오 인터뷰 등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혀왔으며 대통령 정무특보이기도 한 윤상현 의원도 전날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오픈프라이머리와 관련해서는 야당의 합의가 전제되어야하나 현재로서는 실현이 거의 불가능한 만큼 대안을 찾아야 하고, 플랜B(여론조사 방식의 국민공천제)를 ‘오픈프라이머리’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또 “이 방식은 당 정체성, 정책능력, 역량보다는 인기나 인지도만으로 후보가 선정될 우려가 매우 크다. 총선이 연예인이나 히딩크 같은 대중 인기인을 뽑는 것이 아니지 않느냐”며 “그렇다면 대통령 후보도 여론조사로 뽑는다는게 말이 되느냐”고 물었다.
이에 친박계 좌장인 서 최고위원이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해 어려움에 봉착했다는 판단을 하고 김 대표를 향해 입장 표명을 요구한 것은 최후통첩성 성격이 짙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