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日국채 이어 금융기관 신용등급도 강등
S&P, 日국채 이어 금융기관 신용등급도 강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추가 양적완화 필요성 지적도
▲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일본국채에 이어 일본 금융기관들의 신용등급도 일제히 강등했다.ⓒ뉴시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17일 일본 국채의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한데 이어 일본 금융기관들의 신용등급도 일제히 강등했다.
 
1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이 같이 보도하고 이번에 신용등급이 조정된 곳은 메가뱅크인 미쓰이 스미토모, 미즈호와 정부계 금융 기관, 보험회사, 지방은행 등도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대부분 신용등급 1단계가 강등됐다.
 
일본 국채를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대형은행과 생보사들은 일본 국채의 신용 등급 강등에 바로 반응하게 돼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된 것과 관련해 미국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7일 “아베 총리가 집권 초 밝힌 ‘3개의 화살(통화정책‧재정정책‧상장전략)’ 중 통화와 재정정책에 따라 기업 이익은 늘었지만 가계 소비와 투자 증가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아베노믹스는 대규모 양적 완화를 바탕으로 엔저를 유도해 기업실적을 개선하고 소비를 회복해 결과적으로 경기선순환을 이끌어 낸다는 게 요지다. 그러나 최근 아베노빅스의 경기선순환 고리는 제대로 구성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엔저영향에 따라 올해 2분기 수출액은 소폭 증가했지만, 오히려 지난 7월부터 이달까지의 수출물량은 감소했다. 17일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지난달 무역수도 시장전망치 -5400억엔 보다 상황이 안 좋은 -5697억엔을 기록했다.

2분기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은 설비투자 부분이 전기대비 0.9% 줄어들면서 3분기 만에 하향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3분기 GDP증가율에 대한 전망치 역시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여기에다 중국 등 신흥국들의 경기침체가 회복되지 않고 있는 와중에 엔화가치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어 일본 금융권이 추가 양적 완화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제기된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