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부실’ 대우조선, 자문역 고액연봉 논란
‘총체적부실’ 대우조선, 자문역 고액연봉 논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4년 이후 60명 위촉…평균 연봉 8800만원”
▲ 올해 2분기 3조원대의 부실덩어리를 드러낸 대우조선해양이 경영부실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시사포커스DB
올해 2분기 3조원대의 부실덩어리를 드러낸 대우조선해양이 경영부실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산은이 대주주인 대우조선해양의 인사 문제가 도마에 오르면서다.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은 산은에서 받은 ‘대우조선해양 자문·고문 현황’ 자료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에서 2004년부터 특별한 실적도 없이 거액의 연봉과 돈을 받은 자문역이 60명에 이르며, 이들이 평균 88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민 의원에 따르면 이 가운데 최고 대우를 받은 남상태 전 사장은 퇴임 후인 2012년 3월부터 2014년 4월까지 2년간 받은 급여가 2억5700만원에 달했다.
 
특히 남 전 사장은 이 기간 서울 중구 사무실 임대료 2억3000만원과 연간 3000만원의 고급차량 운용비까지 지원받았다.
 
아울러 ▲산업은행 출신 4명 ▲수출입은행 출신 2명 ▲국가정보원 출신 2명 ▲방위사업청 출신 1명 ▲해군 장성 출신 3명이 대우조선의 자문역으로 급여를 받았다.
 
김유훈 전 산은 재무관리본부장은 2012년 3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1년여 동안 자문역으로 급여 1억5200만원에 사무실 임대료 7800만원과 차량 운용비 1800만원을 지원받았다.
 
▲이윤우 전 부총재(2014년 4월∼2015년 3월, 급여 1억3800만원) ▲김갑중 부행장(2015년 4월∼8월, 급여 5100만원) ▲허종욱 전 이사(2009년 4월∼2010년 4월, 급여 4800만원)도 산은 출신으로서 대우조선 자문역으로 활동했다.
 
민 의원은 “산업은행이 감사원에서 유사한 지적을 받았음에도 대우조선의 실적 없는 억대 연봉의 자문·고문 고용을 방치했다”며 “이런 감독의무 태만과 유착은 대우조선의 부실 원인 중 하나”라고 질타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도 “대우조선의 사외이사 18명 중 12명이 이른바 낙하산이고, 박근혜 정부 때 임명된 7명 중 5명이 낙하산 인사”라며 “조선업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전직 국회의원과 보좌관 등을 사외이사에 임명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의 지적에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은 “앞으로 해양 분야의 전문성이 있는 인사를 추천하겠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신현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