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국감 파행 책임 두고 옥신각신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1차 국감 종반이 가까워짐에도 어제 증인채택 문제로 파행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며 “복지위에서는 증인 문제로 국감 자체가 아예 파행됐다”고 꼬집었다.
이어 원 원내대표는 “그간 국감 모니터링해온 시민단체들도 몰아치기 식, 호통 훈계형, 잘못된 사실관계에 의한 질의 등 잘못된 행태들을 지적했다”며 이 같은 야당의 행태로 국감 파행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도 ‘증인 면박주기, 호통국감, 과도한 증인요구, 증인에 대한 1초 국감’ 등 문제점을 지적한 뒤 “정상적인, 내실 있는 감사를 위해 어떤 방법의 국감을 채택할 것인지 여야가 증인 실명제를 비롯한 여러 가지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고 입장을 내놨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같은 날 국회 국정감사대책회의에서 전날 보건복지위 증인 불출석으로 인한 국감 파행에 대해 규탄하며 새누리당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의 화살을 퍼부었다.
이날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어제 문형표 전 장관도 출석하지 않았고, 새누리당은 청와대 관계자도 부를 수 없다고 해 국감을 파행시켰다”며 “청와대 관계자를 (국감장에) 부르는 것이 전례가 없었다는 이유였는데, 참 한가로운 이유라고 생각한다”고 비난했다.
이 원내수석부대표는 “국가방역이 이렇게 무너진 것도 전례가 있다는 말인가”라며 “국감 파행, 여야 합의파행에 앞서 철저한 진상규명을 하겠다던 대국민 약속의 파기고 재발방지를 유기했다는 선언과 다름없다”고 질타했다.
보건복지위 야당 간사인 같은 당 김성주 의원도 “간밤에 잠을 제대로 못 잤다. 열심히 국정조사 준비해서 메르스 진상을 규명하자는 다짐은 꺼내보지도 못한 것이 너무 억울했다”며 “문형표 전 장관은 아예 나오지 않았다. 채택된 증인이 불출석한 것은 그렇다 치고, 아예 채택을 거부하는 여당의 행태는 명백히 국감 방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이어 “최원영 전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은 절대 안 되고, 김진수 비서관은 운영위원회 증인으로 출석하면 되고, 문형표 전 복지부 장관은 국감 마지막 날에 나오면 될 것이라는 것이 여당 지도부의 가이드라인”이라며 “(증인도) 못 부르는 국회, 국정감사를 무엇 하려고 하느냐”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우리는 메르스 잊었다. 잊도록 강요당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기다리겠다”며 “종감 하루 전인 10월7일에 복지위에서 별도로 메르스 국정감사를 다시 추진하겠다”고 주장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