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국감 증인 ‘불출석’ 놓고 설전 이어
與野, 국감 증인 ‘불출석’ 놓고 설전 이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날 국감 파행 책임 두고 옥신각신
▲ 1차 국정감사 종료를 하루 남긴 22일 여야는 전날 메르스 사태 검증을 위해 보건복지위원회 국감장에 출석하기로 됐던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 주요 증인들이 불출석한 것을 두고 국감 파행의 책임과 관련해 서로 비난하기 바빴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1차 국정감사 종료를 하루 남긴 22일 여야는 전날 메르스 사태 검증을 위해 보건복지위원회 국감장에 출석하기로 됐던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 주요 증인들이 불출석한 것을 두고 국감 파행의 책임과 관련해 서로 비난하기 바빴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1차 국감 종반이 가까워짐에도 어제 증인채택 문제로 파행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며 “복지위에서는 증인 문제로 국감 자체가 아예 파행됐다”고 꼬집었다.
 
이어 원 원내대표는 “그간 국감 모니터링해온 시민단체들도 몰아치기 식, 호통 훈계형, 잘못된 사실관계에 의한 질의 등 잘못된 행태들을 지적했다”며 이 같은 야당의 행태로 국감 파행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도 ‘증인 면박주기, 호통국감, 과도한 증인요구, 증인에 대한 1초 국감’ 등 문제점을 지적한 뒤 “정상적인, 내실 있는 감사를 위해 어떤 방법의 국감을 채택할 것인지 여야가 증인 실명제를 비롯한 여러 가지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고 입장을 내놨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같은 날 국회 국정감사대책회의에서 전날 보건복지위 증인 불출석으로 인한 국감 파행에 대해 규탄하며 새누리당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의 화살을 퍼부었다.
 
이날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어제 문형표 전 장관도 출석하지 않았고, 새누리당은 청와대 관계자도 부를 수 없다고 해 국감을 파행시켰다”며 “청와대 관계자를 (국감장에) 부르는 것이 전례가 없었다는 이유였는데, 참 한가로운 이유라고 생각한다”고 비난했다.
 
이 원내수석부대표는 “국가방역이 이렇게 무너진 것도 전례가 있다는 말인가”라며 “국감 파행, 여야 합의파행에 앞서 철저한 진상규명을 하겠다던 대국민 약속의 파기고 재발방지를 유기했다는 선언과 다름없다”고 질타했다.
 
보건복지위 야당 간사인 같은 당 김성주 의원도 “간밤에 잠을 제대로 못 잤다. 열심히 국정조사 준비해서 메르스 진상을 규명하자는 다짐은 꺼내보지도 못한 것이 너무 억울했다”며 “문형표 전 장관은 아예 나오지 않았다. 채택된 증인이 불출석한 것은 그렇다 치고, 아예 채택을 거부하는 여당의 행태는 명백히 국감 방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이어 “최원영 전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은 절대 안 되고, 김진수 비서관은 운영위원회 증인으로 출석하면 되고, 문형표 전 복지부 장관은 국감 마지막 날에 나오면 될 것이라는 것이 여당 지도부의 가이드라인”이라며 “(증인도) 못 부르는 국회, 국정감사를 무엇 하려고 하느냐”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우리는 메르스 잊었다. 잊도록 강요당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기다리겠다”며 “종감 하루 전인 10월7일에 복지위에서 별도로 메르스 국정감사를 다시 추진하겠다”고 주장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