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산업단지 1천33개, 화학사고 합동방재센터 설치는 고작 6곳”

노 위원장은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 산업단지는 1천33개에 달하지만 화학사고 합동방재센터가 설치된 곳은 경기 시화, 경북 구미, 울산, 전남 여수, 전북 익산, 충남 대죽 등 6곳에 불과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이 때문에 충북과 강원 등 중부권에서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발 빠른 대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노 위원장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지난해 5월 ‘노후 산업단지 정밀 안전진단’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유독물 분야 234개 사업장이 739건의 지적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업장별 평균 3.2건인 셈이다.
노 위원장은 “저장 시설이 노후하고 이송 배관이나 밸브도 낡은 영세 사업장의 유독물 유출 사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화학공장은 사고가 터졌다 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며 “중부 내륙과 강원도를 관할하는 중부 내륙권 합동방재센터 건립이 필요하다”고 설명을 덧붙였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