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프라이머리 관련 與野 회동, “진전된 것 없어”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선거제도와 관련해 “지역구를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여야 된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그건 기자들 생각도 마찬가지잖나”라며 동의를 구했다.
이날 김 대표가 보인 반응은 지난 3일 그가 농어촌 지역 여야의원들로부터 농어촌‧지방 특별선거구 설치 등과 관련된 서한문을 받으면서 “농어촌‧지방 특별선거구 지정에 적극 공감한다”고 했던 것과 정반대돼 그 이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2일 국회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친박계 이학재 의원이 농어촌 특별선거구를 정개특위 안건에 포함시키겠다고 밝힌 데 이어 오픈프라이머리가 아닌 ‘제3의 길’을 모색하자는 발언으로 김 대표와 거리를 뒀던 원유철 원내대표도 “(농어촌 특별선거구를) 검토해 볼 만하다”고 발언하자 일각에선 김 대표가 도입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선거제도 개혁과 관련해 당내 주도권을 자신이 놓지 않겠단 차원에서 제동을 건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한편 김 대표는 선거구 획정을 비롯해 오픈프라이머리 협상 등을 위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의 회동 가능성과 관련해선 “아직 진전된 사항은 없다. 필요하면 해야지”라고 전했다.
그는 또 친박계가 오픈프라이머리 폐기를 위한 의원총회를 요구하는 데 대해선 “그건 앞으로 할 일”이라고 원론적인 입장만 내놓으며 말을 아꼈다.
이에 ‘추석 이후 공천 관련 의총을 개최할 것이냐’는 질의가 이어지자 김 대표는 “그러니까 나보고 뭐를 어떻게 할 거냐고 물을 일이 아니다”라며 “당론으로 정해진 일을 그동안 추진하다가 그게 안 된다고 결정됐을 때는 당연히 의원들하고 최고위에서 상의해 가지고 새로운 길을 찾아야지”라고 답했다.
다만 그는 “아직까지 그 단계는 아니다”라며 “그 단계는 아닌데 이 모든 게 여야 간 협상하는 과정이 있는데 자꾸 힘을 빼는 발언을 하는 게 그게 좀 하지 말아 달라 하는 이야기”라고 친박계의 의총 요구에 내심 불만을 드러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