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 쟁점은 합의 못 이뤄···추가 회동 전망

김 대표와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김 대표의 제안으로 부산 롯데호텔에서 1시간 40여분간 단독 회동을 갖고 공천 룰과 관련한 논의를 이어갔다.
이날 회동에서 양측이 의견 접근을 이룬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는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가 내놨던 혁신안인데, 야당은 이를 법제화할 전기를 마련했단 의미가 있고 새누리당에선 어떤 형태로든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여야 합의가 이뤄졌단 명분을 얻게 돼 친박계의 오픈프라이머리 회의론으로 궁지에 몰렸던 김 대표가 다시 힘을 받게 됐다.
이날 회동이 끝난 뒤 문 대표는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중앙선관위 주관으로 하되 일부 정당만 시행할 경우 역선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법으로 규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여기서 ‘안심번호’란 실제 전화번호가 아니라 암호화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 가상 번호로, 여론조사의 조작·왜곡 소지를 방지하고 선거인단의 개인정보 유출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전화로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를 하게 되면 비용절감도 할 수 있고 참여율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이밖에 문 대표는 정치 신인들을 위해 예비후보 등록기간을 선거일 전 6개월로 늘리고, 예비경선 홍보물을 배포 대상을 전세대로 넓혀나가기로 했으며, 신인·여성·청년·장애인 등 상대적 약자를 위한 가산점 부과를 법에 근거를 두고, 불복에 대한 규제도 법으로 규정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날 회동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선거연령이나 투표시간 연장, 투·개표 신뢰성 확보,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등은 좀 더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선거구 획정 문제를 10월 13일까지 결정해야 하는데 그 부분에 대해 저는 지금까지 주장해왔던 지역구를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이자는 주장을 했고 문 대표는 비례대표를 줄일 수 없다고 해서 진전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문 대표는 “그 문제도 권역별 비례대표와 함께 연계해서 논의해야 한다는 게 제 입장”이라고 맞받았다.
이에 따라 향후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조정 등 선거구 획정과 관련된 남은 쟁점을 두고 양당 대표가 추가 회동을 가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양당 대표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 친박·비노계 등 당내 반대파를 설득하는 과정까지 고려하면 이날 합의사항이 빠른 시일 내에 법제화될 것이라 속단하긴 이를 것으로 보인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