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관련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 조속히 마련돼야"

박 대통령은 이날 낮(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에는 동북아 안보질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움직임들도 나타나고 있어 역내 국가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박 대통령은 “동북아지역은 역내 국가들 간 높은 경제적 상호의존성에도 불구하고 정치 안보분야 협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아시아 패러독스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걱정스럽게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통과된 일본의 방위안보법률은 역내국가 간 선린우호 관계와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투명성 있게 이행되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자신의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들어 “반기문 사무총장께서는 긴장과 대립이 지속되는 동북아를 가리켜 지역협력 메카니즘이 없는 ‘중요한 고리를 잃어버린 곳’이라고 했다”며 “제가 ‘동북아평화협력구상(NAPCI)’을 추진하는 이유도 잃어버린 고리를 다시 연결해서 동북아에 신뢰 구축과 협력 증진의 선순환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련해서도 의견을 표했다.
박 대통령은 “저는 작년 이 자리에서 ‘전시 여성에 대한 성폭력은 어느 시대, 어떤 지역을 막론하고 분명히 인권과 인도주의에 반하는 행위’라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면서 “올해는 특히 ‘여성, 평화와 안보를 위한 안보리 결의 1325호’가 채택된 지 15년을 맞는 해로서 국제사회가 분쟁 속의 여성 성폭력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무엇보다 2차 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이제 몇 분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이 분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덧붙여 “이 문제에 관한 유엔 인권최고대표들과 특별보고관들의 노력이 헛되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또 “과거를 인지하지 못하고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길은 없다”면서 “이제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유엔에 담긴 인류애를 향한 영원한 동반자 정신이 널리 퍼지길 바란다”고 당부의 말을 전했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