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제기되는 LG유플러스 다단계 논란
연일 제기되는 LG유플러스 다단계 논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병헌 의원 “LG유플러스 다단계 판매원에 수백억 손실 입혀”
▲ 통신 다단계 판매가 구형 스마트폰 재고를 처리하는 창구로 변질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다단계 판매원들이 시중 출고가보다 높은 금액에 해당 단말을 개통하고, 8개월간 약 300억원의 바가지를 썼다는 분석이다. ⓒ뉴시스
LG유플러스가 다단계 판매원들에게 구형 스마트폰을 원래 가격보다 비싸게 넘겨 300억원 규모의 손실을 입혔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정병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 따르면 LG유플러스가 업그레이드 모델인 ‘G3Cat6’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형 모델인 ‘G3’를 다단계 채널을 통해 밀어냈다. 전 의원은 “LG유플러스는 다단계 채널에서 G3를 G3Cat6 보다 최고 수십만 원 비싼 가격으로 유통시켰다”며 “G3Cat6는 다단계 대리점을 통해 유통되는 것을 사실상 차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10월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 시행된 후부터 올해 5월까지 G3를 구입한 다단계 판매원들은 G3에 비해 G3캣6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었음에도 불구, G3 단말기를 구매해 154억원의 경제적 손해를 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방통위에 따르면 다단계 대리점들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판매한 G3 판매량은 총 5만815대다. 올해 6월 기준 G3와 G3Cat6 단말기 가격 차이가 30만8000원인 것을 고려하면 다단계 판매원들의 경제적 손실은 154억원 가량에 달한다.
 
전 의원은 “구형 단말기 밀어내기로 얻은 LG유플러스 다단계 대리점과 LG전자의 이익은 다단계판매원에게 일방적으로 전가되고 있다”며 “규제 당국은 이러한 영업 행태에 대해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방통위 조사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여 현재는 불법 운영을 하고 있지 않다”며 “시정명령서가 들어오면 개선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시사포커스 / 이신영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