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유동성 악화, 생산 위축 우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산업생산과 제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3%, 0.2% 증가했다.
제조업 내수 출하는 같은 기간 1.0% 늘었지만, 수출 출하는 0.1%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6월 75.2% ▲7월 74.7% ▲8월 74.3% 등으로 계속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설비와 건설투자 개선 추세에 힘입어 내수는 완만히 회복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해외수요 위축 영향으로 수출 감소세가 확대되자 제조업 업황도 악화되는 추세다.
8월 제조업 재고율지수(재고/출하 비율)는 128.4로 전년 동월보다 5.6% 증가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석유정제 10.3% ▲화학제품 6.4% ▲1차 금속 1.1% ▲반도체 15.2% ▲기계장비 6.2% ▲자동차 11.7%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EU(+19.7%) 지역 수출이 늘었지만 ▲중국(-5.0%) ▲일본(-24.3%) ▲미국(-3.7%) 등에 대한 수출은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무선통신기기(40.9%) 수출은 급증했으나 ▲석유류(-30.2%) ▲철강제품(-21.6%) ▲선박(-20.4%) 등 대부분 주력 품목이 부진했다.
대표적인 게 자동차 수출이다. 한양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1~7월 현대자동차의 해외판매(수출+해외공장)는 236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감소했다. 기아차는 외국시장에서 1.5% 늘어난 147만대를 팔았다.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당분간 수출이 큰 폭으로 반등하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출 부진이 장기화하면 재고 증가로 생산과 투자가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질 우려도 있다.
실제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지난 8월 높은 재고율을 이유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5%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중국의 위안화 평가 절하도 당초 우리 경제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됐지만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원·위안화 환율이 5% 하락하면 총수출은 3% 감소한다. 산업별로 보면 기계가 - 5.5%로 가장 타격이 크고 석유화학 -3.7%, 철강 -2.5%, 자동차 -1.9%, IT -0.3% 등의 순이다.
실제 현대차는 올해 1~7월 중국에서 56만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기보다 10.9% 줄어들었다. 기아차도 33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감소했다. 지난달 현대차와 기아차의 중국 판매량은 지난해 7월보다 각각 32%, 33% 줄어들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중국이 가공무역을 축소함에 따라 한국산 부품 수입이 줄어들고 있고, 우리 상품의 수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하고 있어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사포커스 / 신현호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