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새누리당간의 국정교과서 추진 협의가 이뤄지면서 추진 방안에 구체적으로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정부와 새누리당이 오후 국회에서 당정협의를 열고 국정교과서 추진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당정회의는 새누리당 김정훈 정책위의장 주재로, 당 역사교과서개선특위 위원장인 김을동 최고위원, 그리고 정부 측에서는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참석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회의에서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올바른 역사 교육은 국가 존립을 위해 필수 요소”라고 말하며 “현재 역사교과서는 계급투쟁론과 민중사관, 반미와 친북 사관을 교묘하게 주입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객관적 사실과 헌법에 부합하는 교과서 단일화에 당력을 집중하겠다”며 “단일 교과서는 수능 부담을 완화하고 많은 학부모가 국정 교과서에 찬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을동 위원장도 “현재 교과서 검인정 체제의 폐해와 문제시되는 편향성을 해결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교과서 국정화 추진 의지를 내비쳤다.
이날 국정교과서 당정협의를 바탕으로 정부는 12일 공식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교육부 관계자는 “12일 오후 정부 세종청사에서 황우여 교육부 장관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전환에 대해 직접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오는 2017년부터 하나의 국정교과서로 한국사를 배우게 된다.
일단 국정교과서가 결정되면 편찬은 국사편찬위원회가 맡게 되는데 이미 편찬위원으로 참여할 학자들과 현장 교사들까지 논의하는 등 준비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관계자에 따르면 집필위원은 1년 임기의 역사학자가 전담할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1년 동안 한국사 교과서 집필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등 내년 10월까지 집필과 심의를 완료할 예정이다.
또 논란이 될 수 있는 근•현대사는 줄이고 고대사와 중세사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특히 근•현대사는 헌법적 가치에 입각해 공로와 과오를 명확하게 다루고 집필진도 중립적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역사학계 외에 학부모와 교육, 헌법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로 편찬심의회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