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나 통신망 등으로 메시지 공개 불가

13일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라인은 전세계적으로 메신저 상 이용자의 보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 보호 강화를 위해 자동으로 종단간 암호화(E2EE)를 적용하는 ‘레터실링(Letter Sealing)’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라인의 종단간 암호화 기능인 레터실링은 안드로이드 및 iOS 기반의 스마트폰 뿐 아니라, 세계 최초로 Windows, Mac OS X 기반의 PC에서 주고받는 메시지에도 적용된다.
라인 5.3.0 이상의 버전을 이용한다면 ‘설정’ 메뉴의 대화‧통화 항목에서 레터실링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폰에서만 라인 계정을 사용한 이용자들에게는 현재 레터실링 기능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 덕에 라인은 기존 타이머챗 뿐 아니라 일반 채팅 시에도 종단간 암호화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됐으며, 레터실링은 우선 1:1 대화 메시지와 위치 공유를 대상으로 한 후에 점차적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레터실링이 활성화된 이용자 간 대화 진행 시, 단말 기기나 PC에서 전송된 메시지는 해당 기기에 저장돼 있는 키에 의해서만 해석할 수 있는 암호의 형태로 전송된다. 때문에 서버나 통신망 등을 통해 메시지가 공개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해진다.
한편, 라인은 지난 8월 삭제한 대화 내역에 다른 데이터를 덧씌워 기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도록 하는 ‘트루 딜리트(True Delete)’ 기능을 도입했다. 이는 스마트폰 분실 및 도난으로 인해 대화 내역이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레터실링과 트루딜리트 기능을 통해 라인 이용자들은 통신망 및 서버 뿐 아니라 라인을 사용하는 기기에서 비롯되는 개인정보 유출 위험에 대한 부담까지 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