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군사령부가 정부와 시민단체들이 미군기지내 환경오염 제거를 요구한데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주한 미군사령부는 14일 제9차 한미안보정책구상(SPI) 회의가 끝난 뒤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수 십년간 미국은 대한민국 정부가 제공한 땅을 잘 지켜왔다. 우리는 조심스럽게 그리고 정직하게 토지를 지키왔으며 수 십년간 한국 국민을 위해 군사적 임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여 왔고, 미군과 그들의 가족들은 수 십년간 이 기지내에서 안전하게 살아왔으며, 현재 토지와 토양에는 알려진 바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해치는 급박하고 실질적으로 상당히 위험한 그런 것이 없다』 며
『상호 합의에 의해 가장 최근에 수정된 주둔군지위협정에 의하면 토지를 반환할 때 미국이 수십년간 투자해온 모든 건물과 시설물들을 한국 정부가 원하는 대로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결국 한국은 사용하게 될 토지를 반환받을 뿐 아니라, 미국의 납세자들이 낸 비용으로 수 십년간 수 십억 달러를 들여 만들어 놓은 시설물을 이전받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주한 미군사령부는 『주둔군지위협정 2001년도 개정안에 의하면 대한민국 정부에 지역과 시설을 반환할 때, 원래 그 지역과 시설들이 미군에게 공여되었을 때의 상태대로 원상복구해야할 책임이 미군에게 없으며, 대한민국정부가 원상복구를 할 경우에도 미국이 대한민국 정부에 보상할 책임이 없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측은 "기지반환과 관련하여SOFA협정을 부정하고, 기지반환의 요구조건으로 새로운 환경 기준을 일방적으로 만들려 하고 있으며, SOFA나 관련된 다른 협정에서 상호 합의하여 만들어진 기준을 훨씬 초과하여 환경을 개선시킬 것을 주장하고 있다" 며, 이는 "한.미 양국에 이익이 되지않으며 실행하기 어려운 일방적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반환될 미군기지에 건설되어있는 시설들은 숙소, 소규모 체육관, 군 복지시설 등이 대부분으로, 반환된 이후에는 제거될 가능성이 커 실질적인 도움은 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편, 주한미군측으로부터 반환받기로 한 15개 기지를 포함해 총 59개의 기지의 환경오염 치유비용이 5천억이 될것이라는 환경 전문가들의 추정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최고 3천억∼4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