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저지’ 천만서명 시민불복종 운동 공동확대 등 천명
이들은 전날 예고한대로 이날 오후 2시10분 국회 의원회관에서 3자 연석회의를 열고 국정 교과서 저지에 야권이 공동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데에 뜻을 모았다.
이번 회동에서 이들은 천만서명 시민불복종 운동 공동확대, 학계‧시민사회‧교육관계자 공동토론회 공동대응, 진실과 거짓 체험관(가칭) 설치 등을 추진해나가기로 합의했으며 3자연석회의를 향후 교사‧학생‧학부모, 시민사회 단체 등의 참여를 통한 4자회의로까지 확대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다만 이날 세 지도자 간 야권 공조 방침엔 이견이 없었지만 문 대표가 교과서 국정화 문제에만 집중한 반면 심 대표는 선거제 등 앞으로 더 다양한 주제에서도 공조해 나가잔 뜻을 피력했고 천 의원은 교과서 국정화에 이르기까지 야권의 책임도 없지 않다고 꼬집었다.
먼저 문 대표는 “정당은 다르지만 친일을 미화하고 독재를 찬양하는 왜곡된 역사 교과서를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한 뜻으로 범야권이 모였다”며 “만약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끝내 국정화를 강행하면 국민적 저항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어 “역사학자들과 역사교사들이 다 함께 반대하는 일이다. 국정화가 되면 집필을 거부하겠다는 그런 선언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고 학생들도, 국민들도 획일화된 역사교육을 반대하고 있다”며 “당을 떠나서 모두가 다 함께 나서야 한다. 행동하는 양심과 깨어있는 시민들이 나서야 한다. 오늘 연석회의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문 대표는 “우리 당은 국정화 반대 1000만 서명운동과 반대의견 10만 건 제출하기 운동을 하고 있다”며 “정당과 정파를 떠나 함께 해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뒤이어 심상정 대표는 “오늘 야당들이 모인 이 자리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헌법가치를 훼손하는 박근혜 정부의 폭주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생각에서 마련됐다”며 “국격 추락, 민생실종 등 혼란과 갈등이 대통령의 국정화 결심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심 대표는 이어 “박 대통령과 여당이 색깔론을 앞세우고 이념전쟁을 시도하는 노림수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며 “이참에 정치불신, 정치혐오 더 적극 조장해 절대다수 유권자를 정치에서 떼어놓겠단 계산이 숨어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야당들이 좀 더 지혜를 모아 다시는 박 대통령이 헌법질서를 역행하는 폭주를 하지 못하도록 분명한 의지를 보여줘야 하겠다”며 “유엔 인권이사회는 지난 3월 베트남에 국정교과서 폐지를 권고했는데 더 큰 망신살이 뻗치기 전에 국정화를 중단시켜야 한다. 정의당은 10만 시민 불복종 운동을 하고 있으며, 이를 더 확대해 추진하겠다”고 천명했다.
또 심 대표는 “선거제 개편에도 야당이 공조해야 한다. 새누리당이 저리 오만방자 할 수 있는 건 부당이득을 안겨주는 현행제도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천정배 의원도 “우리는 야권이 모든 힘을 모아 공동 대응함으로서 역사 쿠데타를 막아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며 “나아가 학계·교육계·시민사회 등 각계각층 국민들, 보수와 진보 막론하고 국정화에 반대하는 국민들과 힘을 합해서 결사항전의 자세로 나가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천 의원은 이어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경제와 민생 등 국정전반에서 박근혜‧새누리당 정권이 드러낸 무능한 실정을 은폐라고 내년 총선서 마치 보수와 진보의 싸움인 양 몰아가려는 무책임한 정략”이라며 “박근혜 정부의 역사쿠데타는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이번 사태는 상식 대 몰상식, 헌법 대 반헌법의 싸움이며, 여기서 밀리면 매국노가 애국자로 둔갑하는 세상이 되고 민주주의도 수십 년 후퇴하고 말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야권에도 일침을 가했는데 “박근혜 정부가 역사 쿠데타를 획책하는 등 국가적으로 위험한 폭주를 노골적으로 자행하는 데는 이를 견제하지 못한 야권책임도 작지 않다”고 쓴 소리를 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유은혜 대변인은 이날 회의 합의사항 중 진실과 거짓 체험관과 관련 “유엔 입장, 국정교과서 사용국가, 현행 교과서 내용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공동운영할 것”이라며 “세부내용은 실무 협의를 통해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