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제복 변경 이유 들어보니...아하
경찰제복 변경 이유 들어보니...아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뉴시스
경찰제복 변경 이유 들어보니...아하

경찰제복 변경이 10년 만에 추진된다.

지난 20일 경찰청에서는 경찰 창설 70주년을 맞아 새로운 경찰제복 개선안(案)을 선보이면서 내년 6월부터 개선 근무복을 착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제복 변경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국가의 공권력을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는 측면에서 경찰의 정체성과 연계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현행 경찰 근무복은 그 색상의 시인성이 낮아 경찰의 도움을 요청하는 시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식별력이 떨어지고 디자인과 소재 측면에서도 내근 근무의 근무환경에 맞추어져 있어 24시간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는 외근 현장근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또한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예방우선의 기초치안, 생활 속의 질서확립 등 보다 적극적인 경찰의 활동과 보호를 요구하는 국민의 목소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이미지 개선이 요구되었으며

경찰제복 변경은 국민안전의 보호자이자 공공질서유지 및 국가 법집행기관으로서 경찰의 신뢰성을 부각하고, 한국의 비약적 발전상과 위상에 걸맞은 품격있고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구현하며, 최신 소재와 인체공학적 유형을 적용하여 경찰업무 특성에 맞도록 기능성과 활동성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기존의 상징적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근무복의 색상과 유형, 점퍼의 실용성, 기동복의 착용감과 기능을 개선하고 소재 전반에 걸친 품질 향상 등에서 큰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다.

정복과 기동복의 주조색은 신뢰와 공정을 상징하는 남색(네이비)을 유지하되 기동복의 명도를 다소 밝게 하였으며 일반 근무복 상의 색채는 청록색, 교통 근무복은 아이보리 화이트, 각 바지는 남색이며 점퍼에는 짙은 회색을 적용했다.

일반 근무복에 적용한 청록색은 신뢰와 보호, 청렴, 치유를 상징하며 따뜻함과 차가움을 함께 가지고 있는 색으로서 법집행은 엄정하게 하되 항상 따스한 가슴으로 국민을 대해야 하는 경찰에게 어울리는 색상이라고 할 수 있다.

교통 근무복은 현행 밝은 색을 유지하면서 바지 옆 선에 줄무늬 디자인을 적용하여 거리의 법집행자로서 시인성을 강화했다.

일선의 현장 특성에 맞게 보다 활동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넥타이 착용을 과감히 폐지하되 필요시에 착용토록 변경하였고 지구대•파출소등 지역경찰의 경우 활동성과 기능성이 뛰어난 카고팬츠도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근 업무특성에 맞도록 외근화를 개발, 보급하기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새근무복 so ugly 2016-01-31 16:58:29
아, 진짜 멋도 없고 거지 같다. 근무복 색상 디자인은 그대로 두고, 넥타이 착용여부와 단추 정도만 바꾸지. 정말 쓸 데 없는 데에 돈을 쓰는구나.
경찰청 제발 부탁인데, 바꾸지 않으면 안 되나요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