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대책, '이대로는 안된다'
에너지 대책, '이대로는 안된다'
  • 이훈
  • 승인 2006.07.17 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에너지절약을 위한 추가 대책 검토
정부가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서는 등 고유가가 지속됨에 따라 공공 시설물의 이용을 제한하는 등 에너지절약을 위한 추가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또 올해 국제 유가에 대한 전망 작업도 다시 하고 업종별 협회 등을 통해 민간기업이 자발적으로 에너지 절약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하지만 민간의 승용차 요일제 등 2단계 강제절약 조치는 국제 유가 동향을 좀더 지켜본 뒤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17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빠르면 18일께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등 에너지 관련 부처 관계자들로 구성된 고유가대책기획단 회의를 소집, 국제 유가 동향과 에너지절약 추가 대책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제 유가의 움직임을 면멸하게 점검해 유가 전망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 공공부문에 대한 추가적인 에너지절약 대책을 추진하는 방안 등을 의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경제운용방향을 마련하면서 올해 유가 전망을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54달러에서 63달러로 상향 조정했지만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70달러가 넘어간 이후 산업자원부에서 유가전망팀을 가동, 국제 유가 전망 작업을 다시 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공공부문에 대한 추가 대책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것은 없고 기획단 회의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면서도 "공공시설물에 대한 조치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있고 각 부처에서 아이디어를 제출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공시설물에 대한 에너지절약 대책으로 특정 시간 이후 전등 소등, 승강기 이용 제한 등의 조치가 검토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계자는 민간부문 대책과 관련 "일방적인 조치는 반발을 불러 올 수 있고 경기적으로 민감한 상황이기 때문에 강제대책은 검토하지 않고 있지만 시민단체와 업종별 협회 등을 통해 민간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에너지절약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이와 함께 2단계 강제절약 조치와 관련, "2단계 조치의 전제 조건이 수급 지장과 가격 상승이지만 현재 수급에 문제가 없고 유가가 하루, 이틀 70달러를 넘었다고 1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는 없다"며 "가격 조건은 10일 평균이나 20일 평균 정도를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략비축유 보유 목표치를 다시 수정하는 등의 방안은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