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7.11 전당대회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의 조직적 개입을 주장하며 전남 순천에서 닷새간의 칩거를 마치고 상경한 이재오 최고위원은 후속 당직인사와 관련해 "중앙당은 물론 시. 도당 사무처의 당직자들을 중립적 인사로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암사에 머물때 입었던 등산복 차림 그대로 지역구인 은평구 수해피해현장을 찾은 이 최고위원은 은평구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인물로 바꾸지 않으면 한나라당은 언제든 패할 수 있다"며 "내년 대선경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은 이번 전당대회가 거울이 돼야 한다"며 전당대회 이후 고민과 당무복귀 결정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을 비교적 담담히 밝혔다.
이 최고위원은 "(지난 전대에서) 한나라당의 모든 부정적 이미지가 한꺼번에 폭발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면서 "어떤 모습으로 당에 기여하고 최고위원에 참여할 것인가, 과연 최고위원 자리를 유지하는게 국민과 당에 도움이 되는가 고민하기 위해 산사에 들어갔다"고 칩거이유를 설명했다.
이 최고위원의 이같은 주장은 대선후보 선출방법 변경 요구로 이어졌다. 그는 "후보가 추천하는 인사와 당 외부 인사로 구성된 공정경선관리위를 구성해 당 지도부의 당무활동이 공정경선 분위기를 해치는지까지 감시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당원 및 대의원이 대선후보 경선 때 전체 투표권의 50%를 갖도록 한 현행 규정과 관련해 "당헌에 나와 있는 비율과 선발규정, 여론조사 문제도 어느 것이 구속되지 않고 어떤 제도가 공정성 시비를 받지 않는지 때가 되면 검토해야 한다"고 구체적인 내용으로까지 한걸음 나아갔다.
결국 이 최고위원이 이날 자신의 거취에 대한 논란을 수습하는 대신 당 구조와 제도에 관한 문제로 초점을 돌리면서 박근혜-이명박 두 대권주자 사이의 줄다리기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한편 강재섭 대표는 18일 사무총장과 대변인 등 주요 당직에 대한 개편을 단행한다.
사무총장에는 인천 출신 황우여 의원(3선)이 유력하다. 강 대표의 '입'이 될 대변인에는 나경원 의원(초선)이 유력한 가운데 부산 출신 유기준 의원(초선)과 공동대변인을 맡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내 소장. 중도파 모임인 '미래모임'의 임태희 의원(재선)은 여의도연구소장이 유력하다. 대표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색깔론' 등 전당대회 후유증을 봉합하기 위해 '젊은피'를 대거 당직에 기용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