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같이 안 하는 분도 설득해야…자신 희생하는 이순신 리더십 필요”

김 전 의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오늘 대통령하고도 만나는데, 못 만날 이유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선은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서로가 존재 자체를 부인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고 있어야 한다”며 “야권 내에서 생각이 다른 분들 지금은 전망을 같이 하지 않는 분들을 설득하는 노력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전 의원은 문 대표의 리더십에 대해 “문 대표는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또 앞으로도 우리 당의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라며 “그런 분이라면 위기 시에 자신을 희생하는 ‘이순신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또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주장한 ‘집토끼, 산토끼형 후보’와 관련해 “서울시장이나 충남지사를 지내면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고, 도시의 모습을 바꾸고 있는 훌륭한 지도자들이 있다”며 안희정 충남지사와 박원순 서울시장을 직접 지목했다.
이날 김 전 의원은 향후 거취 관련, 상당히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는데 추후 독자행보 가능성에 대해 “아직 그런 이야기를 할 때가 아니다. 지금까지 당에 대한 애정을 보인 걸 보만 여기에서 제가 혼자 살겠다고 독자 행보한다는 것은 너무 무책임한 짓”이라고 일축했다.
또 자신을 둘러싼 각종 연대설 등과 관련해 “여야에서는 ‘기존 기득권 질서에 안주하지 않겠다’라는 그런 정치인들의 노력을 국민들이 조금 이해하고 귀 기울여주셨으면 하는 바람은 있다”고 입장을 밝히면서도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이나 신당 창당 준비 중인 천정배 의원과의 연대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김 전 의원은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과의 연대설과 관련해 “유승민 의원 입장을 함부로 거들다가는 오히려 그분한테 누가 될 것 같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고 천 의원의 러브콜에 대해서도 “현재 기득권 정치구도를 깨자는 그분의 절박한 호소에는 저도 상당 부분 동의했다. 다만 그 움직임에 동참을 하느냐 아니냐는 건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지금은 동참하기 어렵다”고 거부 의사를 드러냈다.
아울러 그는 앞으로 자신의 당내 역할에 대해선 “(제가) 나서기보다는 여러 사람들의 마음을 끌어 모으는 일종의 본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그런 역할을) 할 각오가 돼 있다”고 의지를 밝혔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