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41.7% - 반대 52.7%
[여론조사]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41.7% - 반대 52.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형사 책임 연령 기준 하향 조정’ 찬성 62.6% - 반대 32.0%
▲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반대 여론이 찬성 여론에 비해 우세하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 / 리얼미터 제공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반대 여론이 찬성 여론에 비해 우세하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리얼미터’가 22일 발표한 ‘제3차 역사교과서 대국민 여론조사’에 따르면 역사교과서의 ‘국정 방식’ 전환에 반대하는 의견이 52.7%로, 찬성하는 의견(41.7%)보다 오차범위 밖인 11.0%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잘 모름’은 7.7%였다.
 
앞서 같은 기관이 일주일 전인 지난 13일에 실시한 제2차 조사에서는 찬성하는 의견이 47.6%, 반대하는 의견이 44.7%로 찬반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하게 나타난 바 있다.
 
지난 2차 조사와 이번 3차 조사를 비교해보면 대구·경북, 부산·경남·울산, 보수층, 새누리당 지지층 등에선 여전히 찬성이 우세하지만 2차 조사에 비해 찬성은 낮아진 반면 반대는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2차 조사에서도 반대가 우세했던 서울, 경기·인천, 중도·진보층, 무당층 등에선 찬반의 격차가 보다 더 심화됐고, 60%를 상회하거나 근접한 수치로 반대 여론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 대전·충청·세종에선 국정화에 찬성하는 의견이 우세한 반면, 광주·전라, 서울, 경기·인천 등에선 국정화에 반대하는 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이하와 50대 이상 간에 찬반 의견이 뚜렷하게 엇갈렸으며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은 국정화에 찬성 의견이 대다수인 반면, 새정치연합 지지층과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에서는 반대 의견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에서는 국정화에 찬성하는 의견이 대다수인 반면, 진보층에서는 반대가 대다수로 조사됐다. 중도층에서는 반대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발생한 ‘용인 캣맘 벽돌 사망 사건’ 수사 과정에서 용의자가 사실상 형사 처벌을 받지 않는 만 14세 미만의 초등학생으로 밝혀지면서, 형사 책임의 연령대 기준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형사 책임 연령 기준 하향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한 여론은 연령 기준 하향 조정에 찬성하는 의견이 62.6%로, 반대하는 의견(32.0%)보다 2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름’은 5.4%였다.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형사 책임 연령 기준 하향 조정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이 우세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에서 찬성 의견이 가장 많았다.
 
직업별로는 무직과 가정주부에서 찬성 의견이 70%를 넘었다. 반면, 학생층에선 하향 조정에 반대하는 의견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여론조사는 10월 20일 하루 동안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고,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 보정했다. 응답률은 5.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또한 형사 책임의 연령대 기준의 하향 의견에 대한 여론조사는 같은날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고,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 보정했다. 응답률은 5.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