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이 기술 없어도 우리 자체 기술 개발 가능해”

김 대표는 23일 10·28 재보궐 선거가 치러지는 인천 시의원 선거유세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며 “애초에 첨단기술을 해외에 팔지 않는 게 미국의 방침인데 그것을 마치 돈 주고 사올 수 있다고 기대한 게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핵심 4개 기술을 자체 개발하는 노력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22일 열린 ‘청와대 5자 회동’에서 야당은 KF-X 사업과 관련, 국회 차원의 국정조사를 갖고, 청와대의 외교안보 라인을 교체해야 할 것으로 박근혜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KF-X 사업의 기술이전 불가 문제는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가 청와대를 상대로 벌인 국정감사에서도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청와대 참모들이 곤혹스러워하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권은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상대로 “지난해 1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 회의에서 KF-X 기종 변경을 주도한 김 실장(당시 국방부 장관)이 기술이전 불가능성에 대해 알고 있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김 실장은 “당시에는 실무자들로부터 보고를 받지 못했고 장관을 마치고 안보실장으로 와서 보고를 받았다”고 대응했다.
만족스러운 답변을 얻지 못한 권 의원이 “그럼 기술이전 불가 통보를 받고 도대체 어떤 추가 조치를 취했느냐”고 몰아세우자 김 실장도 “이 기술을 받지 않는다고 항공기 사업을 할 수 없다는 게 결코 아니다. 우리 자체 기술 개발이 가능하다”고 날을 세웠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